1일부터 양도세 중과세 시행이 본격 시작됐다. 정부가 최근 새로운 총부채상환비율(DTI)과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을 시행하면서 대출 규제가 대폭 강화된 가운데 양도세 중과 시행으로 주택시장이 얼어붙는 모양새다. 매수 문의는 자취를 감췄고 거래도 동결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부터 양도세 중과가 시행에 들어가 2주택 이상 다주택자는 전국 조정대상지역에 있는 집을 팔면 이전보다 세금부담이 크게 늘어난다. 조정 대상지역은 서울 전역과 과천, 성남, 하남, 고양, 광명, 남양주, 동탄2를 비롯해 세종, 부산 해운대·연제·동래·수영·남·기장·부산진구 등 40곳에 달한다. 2주택 보유자는 기본세율(6~42%)에 10% 포인트, 3주택 이상 보유자는 20% 포인트가 중과된다. 이에 따라 3주택 이상 보유자의 경우 양도세율이 최고 62%로 올라가 세금폭탄을 맞을 수 있다.정부는 예외 조항도 마련했다. 3주택 보유자의 경우 수도권·광역시·세종시 외 지역의 3억원 이하 주택은 양도세를 계산할 때 제외되며, 2주택자가 부산 7개구와 세종 등 수도권 이외 지역에 산 집을 취학, 근무상 형편, 질병 요양 등의 이유로 팔 때도 예외적으로 양도세 중과에서 제외된다. 부동산 업계 한 관계자는 "양도세 중과 전 집을 처분하려는 다주택자들이 몰리면서 서울 지역에선 아파트 거래량이 부쩍 늘었다"며 "하지만 3월 말부터 사실상 거래가 끊긴 곳이 많고 다주택자들의 급매물도 당분간 사라져 한동안 거래 동결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양도세 중과를 앞두고 지난달까지 임대사업자 등록이 매우 활발했고, 다주택자의 집 처분도 크게 늘었다. 임대주택 신규 등록자수는 지난해 11월 6천159명에서 올해 1월 9천313명으로 9천명 선을 돌파하는 등 가파른 속도로 늘어나는 추세다. /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
2018-04-01 최규원
경기·인천 지역의 표준지공시지가 상승률이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국토교통부가 12일 발표한 2018년 표준지공시지가는 전년 대비 평균 6.02% 올라, 전년도 상승률 4.94%에 비해 상승폭이 1.08%p 증가했다. 경기지역 상승률은 3.54%, 인천은 4.07%로 전국 평균에 못 미쳤으나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서울(6.89%)만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경기지역은 구도심 정비사업 지연 및 토지 시장 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 등으로 낮은 상승률을 나타낸 것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시·도별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지역은 제주(16.45%)였으며, 부산(11.25%)과 세종(9.34%), 대구(8.26%) 지역이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제주 지역은 신화역사공원 개장 및 제2공항 기대감과 귀촌에 따른 주택수요 증가, 개발사업에 따른 투자자금 유입과 인구증가 등의 여파로 전국 시·도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부산은 센텀2지구 산업단지 조성 및 주택재개발 사업, 세종은 기반시설 확충 및 제2 경부고속도로에 대한 기대감 등이 반영되며 전국 평균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최소 상승지역 하위 5곳 중 4곳은 모두 경기도 내 지자체였다. 장항동 개발사업 진척이 미진했던 고양시 일산동구는 0.95%로 최소 상승지역으로 조사됐다. 이어 파주시(1.13%), 전북 군산시(1.19%), 고양시 일산서구(1.2%), 수원시 장안구(1.27%) 순이었다.최고 상승지역은 제주 서귀포시가 17.23%로 가장 높았고 이어 제주시(15.79%), 부산 수영구(13.51%), 부산 해운대구(13.23%), 부산 연제구(13.2%) 등 지역은 전국 평균 상승률보다 2배 이상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전국 최고 공시지가를 기록한 곳은 서울 중구 명동8길(169.3㎡, 상업용)로 ㎡당 9천130만원을 기록하며 2004년 이후 15년째 전국 최고지가를 이어갔다.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눌옥도리(1만3천686㎡, 임야)는 ㎡당 205원으로 지난해에 이어 2년째 최저지가를 기록했다.경기 지역에서 최고지가를 기록한 곳은 성남 분당구 판교역로(2만2천918.5㎡, 상업용) ㎡당 1천98만원, 최저지가는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7만1천393.0㎡, 자연림)이 ㎡당 700원이었다. 인천 최고지가는 부평구 부평문화로(76.4㎡, 상업용)이 ㎡당 1천195만원, 최저지가는 옹진군 대청면 소청리(1만2천496.0㎡, 자연림)는 ㎡당 310원으로 조사됐다. /최규원·김태성기자 mirzstar@kyeongin.com
2018-02-12 최규원·김태성
설 연휴 이후 본격적인 봄 분양시장이 시작되는 3월 전국의 아파트 분양 물량이 2000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7일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3월 전국에서 분양 예정인 아파트 가구 수는 7만5천851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2000년 이후 월별 최대 물량이던 2015년 11월(7만1천848가구 분양) 기록을 넘는 숫자다.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 기조와 설 연휴로 공급 시기를 고민하던 건설사들이 분양 성수기인 봄철을 맞아 대규모 물량 공급에 나서기 때문으로 풀이된다.수도권에서는 전체 물량의 65%인 총 4만9천283가구가 분양된다. 경기도에서는 3만3천518가구로 가장 많고 서울 1만1천872, 인천 3천893가구다.경기지역에서는 과천 재건축 물량과 소사~원시선 개통 호재를 앞둔 안산 지역의 분양이 예고돼 있다.SK건설과 롯데건설 컨소시엄은 과천시 원문동 2번지, 별양동 8번지 일대의 '과천 위버필드'를 분양한다. 지하3층~지상 35층, 21개동, 전용면적 35~111㎡, 2천128가구 규모로 이 중 514가구가 일반 분양된다. 대림산업은 안산시 군자 주공 7단지 아파트를 재건축하는 'e편한세상 선부광장'을 분양한다. 지하2층~지상 최고 36층, 7개동, 전용 49~84㎡, 719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일반 분양은 240가구다.서울에서는 강남권에 분양물량이 몰려있다. 개포주공8단지 공무원아파트 재건축 단지, 논현 아이파크, 서초우성1차 재건축(가칭) 등 3개 단지가 분양 예정이다. /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
2018-02-07 최규원
평택, 부산 2곳 이어 전국 3위연천·동두천 아래에서 4·5위인천 최고 부평은 3.86% 기록인구유입 하남·김포·화성順신도시 개발과 미군기지 이전 등 개발 호재가 몰린 평택시가 지난해 전국에서 세번째로 땅값이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발에서 소외되고 미군기지가 빠져나간 연천과 동두천은 전국에서 땅값이 적게 오른 5위 안에 들어가 평택과 극명한 대조를 나타냈다.국토교통부가 30일 발표한 2017년 연간 전국 지가변동률 자료에 따르면, 평택시 땅값은 지난해 7.55%나 올랐다. 전국에서 부산 해운대구(9.05%)와 부산 수영구(7.76%)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상승률로, 세종시(7.02%) 보다도 많이 올랐다. 평택시는 고덕신도시와 브레인시티 개발이 계속되고,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투자 수요가 증가하면서 땅값이 크게 뛰었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평택 내에서도 미군기지와 인접한 팽성읍(14.26%), 고덕신도시와 인접한 고덕면(11.91%) 등의 땅값이 가장 많이 올랐다. 평택의 땅값 상승률은 3년 전인 2014년에는 1.30%에 그쳤지만, 개발 진척과 투자수요 증가에 따라 2015년 2.92%, 2016년 4.22% 등으로 폭을 키워왔다. 경기도에서는 평택에 이어 성남 수정구가 제2·3 판교테크노밸리 개발 기대감과 위례신도시 성숙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땅값이 4.67%나 올라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민통선에 위치해 개발에서 소외돼 있는 연천군은 지난해 땅값이 1.50%가 오르는데 그쳤고, 미군기지가 빠져나간 공백을 메우지 못하고 있는 동두천도 땅값 상승률이 1.66%에 머물렀다. 전국에서 땅값이 적게 오른 순으로 4위와 5위에 해당하는 상승률이다. 경기도는 평균 땅값 상승률이 3.45%로 나타나 전국 평균(3.88%)에도 못미쳤다. 지역별로 땅값 상승률 편차가 큰 '양극화'가 나타난 가운데 전반적으로 땅값 상승률이 높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그래픽 참조인천은 땅값이 크게 뛰거나 너무 적게 뛴 곳이 눈에 띄지 않았다. 인천에서 지난해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부평구(3.86%)로 전국 평균 보다도 낮았다. 한편,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경기도 하남시와 김포시, 화성시가 경기도 내 인구 순유입(전입인구-전출인구) 1~3위를 차지했다. 하남시는 위례신도시와 미사강변도시 입주가 몰리면서 지난해 2만 명이 순유입 됐다. 반면 과천시는 재건축 사업에 따른 인구 이동으로 지난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6천명이 순유출 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
2018-01-30 최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