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3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과 경기 지역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던 일부 지역의 아파트값이 내림세로 돌아서며 부동산 대책 효과가 현실화하고 있다.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은 0.02%를 기록, 9·13대책을 기점으로 8주 연속 오름폭이 둔화한 것으로 조사됐다.특히 통합개발 호재 등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용산구는 이번 주 0.02%나 하락, 서빙고동 신동아아파트, 동부이촌동 한가람아파트 등지의 일부 매물도 7천∼1억원가량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또 흑석뉴타운 등 개발 호재로 가격이 급등했던 동작구의 아파트값도 이번 주 조사에서 0.02% 떨어졌다.동남권(강남 4구) 아파트값도 지난주 0.04% 하락해 지난주(-0.01%)보다 내림 폭이 커졌다. 이어 서초구의 아파트값이 지난주 -0.02%에서 금주에는 -0.07%로, 강남구가 -0.02%에서 -0.06%로, 송파구는 -0.04%에서 -0.05%로 지난주보다 더 많이 떨어졌다. 이런 현상은 경기·인천 등 수도권은 물론 지방에서도 나타나고 있다.경기도(0.06%)와 인천(0.02%) 아파트값도 지난주보다 오름폭이 둔화했다. 이런 가운데 분당신도시 아파트값이 금주 -0.01%를 기록하며 7월 말 이후 14주 만에 하락 전환했고, 대전의 경우 동구(-0.08%)와 대덕구(-0.06%)는 하락했다.반면, 지난주 0.08% 하락했던 세종시 아파트값은 정부청사 인근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올라 금주 0.02%로 상승 전환했다. 그러나 울산은 0.33% 하락하며 지난주(-0.30%)보다 낙폭이 확대됐고 경북(-0.18%), 경남(-0.12%), 제주(-0.07%), 강원(-0.11%), 부산(-0.06%) 등지도 하락세를 이어갔다.한편, 전국 아파트 전셋값 역시 0.03% 하락하며 지난주(-0.01%)보다 낙폭이 커졌다.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9·13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과 경기 지역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던 일부 지역의 아파트값이 내림세로 돌아서며 부동산 대책 효과가 현실화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강남구 일대의 모습. /연합뉴스
2018-11-01 이상훈
지난해 말 기준 국내 개인 토지 소유자는 1천690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내 전체 5천178만명(주민등록인구) 중 32.6%인 1천690만명이 토지를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2년 1천532만명에 비해 10.3% 증가한 수치다.또 상위 50만명의 소유 비율은 1.3%p 감소한 53.9%로 나타났다.연령대별로 60대가 1만2천512㎢(26.6%), 50대는 1만1천916㎢(25.4%), 70대 8천954㎢(19.1%) 순으로 토지를 많이 소유하고 있고, 20세 미만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도 122㎢(0.3%)인 것으로 집계됐다.특히 개인소유 토지의 35.2%를 수도권 거주자가 소유하는 것으로 파악됐다.수도권 외에 경상권 1만3천204㎢(28.1%), 전라권 7천671㎢(16.4%), 충청권 6천92㎢(13%), 강원권 2천682㎢(5.7%), 제주권 725㎢(1.5%) 순이었다.토지의 소재지 기준 관내거주 비율은 서울 토지의 81.6%가 서울시에 거주하는 사람이 소유하고 있으며, 부산은 76%, 대구는 72.9%에 달했다. 반면, 세종은 20.0%로 외지인의 토지소유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또한 23만4천개의 법인이 6천849㎢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으며, 비법인의 경우 약 22만개의 종중, 종교단체, 기타단체가 7천802㎢의 토지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토지거래 회전율을 보면 세종시 3.7%, 전라남도 3.0%, 경기도 2.9% 순으로 높았다.반면 서울은 0.5%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회전율을 기록했다.용도지역별로는 농림지역이 49.0%인 4만9천22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관리지역 2만3천688㎢(23.6%), 녹지지역 1만1천433㎢(11.4%) 순이며, 주거지역은 2.3%인 2천348㎢로 나타났으며, 지목별로는 임야가 6만3천834㎢(63.6%), 농경지는 2만56㎢(20.0%), 공공용지는 9천981㎢(9.9%), 대지는 3천94㎢(3.1%)로 조사됐다.한편, 이날 국토부는 작년 12월 말 기준 토지·임야대장에 등재된 지적전산자료와 주민등록전산자료를 연계해 토지소유현황 통계를 작성, 공표했다.이 통계는 부동산 정책의 근간이 되는 토지소유 구조를 파악하고 자원배분의 형평성 문제를 진단하고자 생산하는 통계 자료다./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
2018-11-01 이상훈
3분기 지가변동률 8.14% 전국최고민통선내 배 이상 올라 '품귀 현상'최근 남북경협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목받는 파주시 일대가 '기획부동산'의 성행으로 또 다른 투기장으로 전락하고 있다.31일 국토교통부와 지역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올 3분기 전국에서 누계 지가변동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파주시로 지난 2014년 1.02%, 2015년 0.62%, 2016년 0.76%, 지난해 2.09%, 올해 8.14%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그간 부동산 시장의 상승세는 경기 남부지역에 집중됐지만 올 초부터 남북경협 등 각종 호재가 이어지며 평화의 장소인 북부지역으로 옮겨갔고, 특히 평화경제특구 설치 등이 유력한 파주에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 노선 착공 등 교통 호재도 투자수요를 끌어들이며 땅값 상승에 한 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여기에다 임야나 농지를 헐값에 사들여 토지를 무분별하게 쪼개 파는 기획부동산 등 투기세력의 몰림 현상까지 벌어지면서 파주 일대 땅값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실제 민통선 지역인 파주 군내면과 장단면, 진동면 일대 땅값이 급등하더니 최근엔 매도매수 모두 관망하는 '매물 잠김' 현상까지 빚어지고 있다. 올 초부터 최근까지 군내면에서 276건, 장단면 171건, 진동면 204건 등의 손바뀜이 일어나 땅값이 각각 2배 이상 폭등했다.군내면에서는 이달 초 방목리 산 2×× 임야(보전관리지역) 1만1천206㎡가 7천만원에 지분거래됐고, 앞서 8월 초에도 정자리 산 4× 임야(농림) 1천322㎡가 2천600만원에 토지 분할 매매되는 등 올 초부터 최근까지 50여건에 달하는 지분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같은 기간 장단면과 진동면에서도 각각 62건, 29건씩 실거래됐다.파주시내 한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는 "전과 답, 묘지까지 평당 10만~15만원 하던 민통선 안의 모든 토지가 배 이상 올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땅값이 상승하고 있다"며 "기획부동산이 들어왔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그래서인지 요즘 매물 자체가 없어지는 등 품귀현상마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종태·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사진은 부동산중개업자(일명 '떴다방')들이 이동 천막을 설치하고 내방객 들을 상대로 불법영업을 하고 있는 모습. /경인일보 DB
2018-10-31 이종태·이상훈
최근 부동산 규제 강화로 '똘똘한 한 채'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 침체기에는 아파트값 하락이 더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30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2008~2013년 부동산 침체기 당시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서울 -10.0%, 경기 -14.0%, 인천 -3.1% 등 평균 11.1% 하락했다.특히 서울의 경우 '똘똘한 지역'으로 분류되는 강남구의 하락률이 19.0%로 가장 컸으며, 양천구 -18.6%, 송파구 -18.1%, 강동구 -15.5% 등이 뒤를 이었다.반면 중랑구(10.3%)와 서대문구(3.3%), 동대문구(2.9%), 은평구(2.7%) 등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다고 여겨진 강북지역은 침체기에도 상승했다.이런 분위기는 경기 지역도 마찬가지였다.서울과 가까운 용인(-26.2%), 과천(-24.8%), 성남(-24.7%), 김포(-22.2%), 고양(-22.2%), 파주(-21.7%), 광주(-20.7%) 순으로 하락 폭이 컸지만, 외곽 지역인 포천(27.7%), 안성(25.1%), 평택(20.3%) 등은 오히려 급등했었다.인천 역시 '인천의 강남'이라고 불리는 연수구의 경우 17.4% 하락했지만, 동구(10.8%), 계양구(8.2%) 등은 올랐다.이처럼 부동산 침체기에는 실수요보다는 투자 수요가 많이 유입된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세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부동산114 관계자는 "최근에는 서울과 서울 인접 지역을 중심으로 과열 양상이 나타난 만큼 향후 부동산 가격이 약세로 전환할 때 가격 하락 폭은 더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
2018-10-30 이상훈
인근시세 70% 미만땐 3년 → 5년공공분양 전매제한 기간 8년으로주택소유경력 신혼 특별공급 제외연말 분양 앞둔 하남 위례신도시와 평택 고덕신도시의 신혼부부들이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대책의 직격탄을 맞을 전망이다. 정부가 신혼부부에 특화된 '신혼희망타운'의 분양 자격 조건을 1주택 소유자 배제에 이어 주택 거주 의무기간까지 대폭 늘리기로 하는 등의 더욱 강력한 규제를 적용키로 했기 때문이다.29일 주택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최근 9·13 부동산 대책의 후속 조치로 위례신도시와 고덕신도시에 분양되는 '신혼희망타운' 등 분양가 상한제 대상 주택의 거주의무 대상을 강화키로 했다.이에 따라 분양가가 인근 시세의 70% 미만일 경우 거주의무 기간이 70% 미만은 5년, 70~85%는 3년, 85~100%는 1년으로 강화된다. 현행 규정상에는 분양가가 인근 시세의 70% 미만일 경우 3년, 70~85%는 2년, 85~100%는 1년이다.전매제한 기간 또한 9·13 대책 발표 직후 끝난 '주택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 예고에 따라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공급되는 공공분양 주택의 전매제한 기간은 분양가가 70% 미만이면 8년, 70~85%면 6년, 85~100%는 4년, 100% 이상이면 3년 등으로 조정된다.위례·고덕신도시의 경우 전체 면적이 30만㎡ 이상이다 보니 정부가 최근 입법 예고한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에 포함돼 새롭게 적용되는 거주의무 강화대상에 포함된다.공공주택 특별법은 수도권 분양가 상한제 대상 주택의 거주의무 대상을 늘리고 그 기간도 최대 5년까지 올리는 내용이 주요 골자로, 전체 면적이 30만㎡ 이상인 공공택지도 포함됐다. 위례와 고덕에 분양되는 '신혼희망타운'의 분양가는 주변 시세의 70% 미만 가격에 분양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두 곳에서 분양되는 '신혼희망타운'의 전매제한은 8년, 거주의무 기간은 5년으로 설정된다.앞서 정부는 이달 말부터 신혼기간 주택 소유 경력이 있을 경우 신혼부부 특별공급 대상에서 제외키로 했다.한편, 경기지역 '신혼희망타운'은 올해 위례·고덕신도시에 이어 내년에는 화성 동탄과 고양 지축, 남양주 별내, 시흥 장현, 하남 감일 등지에서 순차적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김종찬기자 chani@kyeongin.com
2018-10-29 김종찬
남북관계 개선 기대감으로 파주와 강원도 고성 등 접경지역 땅값이 가파르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2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전국 땅값이 3.33% 상승, 17개 시·도의 땅값이 모두 상승한 가운데 세종(5.42%), 부산(4.51%), 서울(4.30%), 제주(4.08%), 대구(3.54%)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이어 수도권(3.64%)에서는 서울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으나 경기(3.20%)와 인천(2.42%)은 평균보다 낮았다.또 지방(2.80%)은 세종, 부산, 제주, 대구, 광주(3.50%) 등 5개 시·도는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특히 시·군·구별로는 경기 파주시(8.14%)가 가장 많이 올랐다.이는 광역급행철도(GTX) A노선, 지하철 3호선 연장 및 남북관계 개선 기대감에 따른 투자수요 증가로 땅값이 많이 오른 것으로 분석된다.이외에 강원 고성군(6.51%)과 서울 용산구(6.50%), 부산 해운대구(6.07%), 서울 동작구(6.05%)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고성 지역의 경우 남북교류 기대감으로 제진역 등 접경지역에 대한 수요가 지속해서 높았고 해안가 인근 전원주택 수요도 높아 땅값이 많이 상승했다.반면, 조선업 등 지역 경제가 침체한 울산 동구(-2.34%), 전북 군산시(-1.02%), 경남 창원성산구(-0.39%)는 하락했고 경남 창원진해구(0.24%), 경남 거제시(0.32%)는 상대적으로 낮게 상승했다.용도지역별로는 주거(3.75%), 계획관리(3.30%), 상업(3.16%), 농림(3.16%), 녹지(2.73%), 생산관리(2.72%)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이용별로는 주거용(3.64%), 상업용(3.40%), 전(3.14%), 답(3.03%), 임야(2.35%), 공장용지(2.04%) 순으로 높았다.올해 3분기 누계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241만2천필지(1천550.6㎢, 서울 면적의 약 2.6배)로 집계됐다. 거래량은 분양권 거래가 작년 동기 대비 증가했음에도 지역 경기 침체로 부산, 울산, 경남 등지의 매매거래가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소폭 줄었다. 시도별로 토지 거래량은 광주(11.4%), 경기(9.7%), 전북(8.1%), 대전(7.7%) 등은 증가했고, 경남(-24.0%), 부산(-23.1%) 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
2018-10-26 이상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