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입주 1년 이내 신축 아파트의 매매가격 대비 전셋값 비율이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최근 4년 동안 연평균 38만 가구의 신규 아파트 입주가 이어지면서 전셋값이 약세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30일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이달 14일 기준 전국 입주 1년 차 아파트의 전세가율이 62.58%로, 지난 2016년 최고점 74.09% 대비 11.5%p 낮아졌다. 이 기간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은 62.40%를, 서울은 지난 2015년 77.63% 최고점 대비 20.79%p나 떨어진 56.84%를 기록했다.지방 5대 광역시 역시 지난 2013년부터 2016년 4년간 70%대 초반으로 높은 전세가율을 유지하다가 올해는 62.81%까지 떨어졌다. 평균보다 낮은 곳은 경북(61.3%), 인천(60.6%), 광주(59.7%), 경남(57.6%), 울산(57.4%), 세종(37.1%) 순으로 나타났다. KB부동산 리브온 관계자는 "준공 후 첫 입주를 시작할 때 아파트 전세가율은 주변 평균보다 낮게 형성되던 것이 일반적이었다"며 "입주가 가까워지면서 준공 전에 잔금을 치루기 위한 집주인들이 전셋값을 낮춰서 매물로 내놓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지난 9월부터 입주를 시작한 고덕그라시움 전용 84㎡ 매매 일반평균가는 13억2천500만원이며, 전셋값은 매매가격의 40% 수준인 5억4천만원으로 나타났다. 매매가격과 전셋값 격차가 7억8천500만원이다. 지난 2017년 입주한 고덕동 래미안힐스테이트 전용 84㎡의 입주 당시 전세가율은 76%를 나타냈다. 이 기간 전용 84㎡ 매매 일반평균가는 8억6천500만원이며, 전셋값은 6억6천만원으로 2억500만원 차이났다. 최근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집값이 급등했지만, 전셋값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전세가율이 낮아지고 있다고 KB부동산 리브온 관계자는 설명했다.이미윤 KB국민은행 부동산플랫폼부 전문위원은 "풍부한 유동자금과 저금리 영향으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수요가 이어지면서 새 아파트 선호현상과 매물부족으로 전셋값과 매매가격 격차가 벌어져 낮은 전세가율이 한동안 유지될 것"이라며 "다만,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가상한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높은 가격부담으로 실수요 거래량이 줄어들면서 관망세가 이어질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박상일기자 metro@biz-m.kr입주 1년 차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셋값 비율 그래프./KB부동산 리브온 제공2019년 입주한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셋값 비율./KB부동산 리브온 제공
2019-10-30 박상일
10월 3째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전주에 비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24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2019년 10월 3주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매매가격은 0.04%, 전세가격은 0.06% 상승했다.매매가격부터 살펴보면 수도권 및 서울, 지방 모두 지난주 대비 상승했다. 수도권은 0.05%에서 0.07%로, 서울은 0.07%에서 0.08%로 상승 폭이 늘었다. -0.01%였던 지방은 0.01%로 하락에서 상승 전환했다.시도별로는 대전(0.39%), 울산(0.13%), 서울(0.08%), 인천(0.07%), 경기(0.06%), 충남(0.04%) 순으로 상승했다.반면 제주(-0.15%), 경북(-0.12%), 경남(-0.08%), 전북(-0.06%), 부산(-0.05%) 등은 하락했다.전주 대비 0.01%P 상승한 서울은 부동산거래 합동조사, 분양가상한제 시행 예정 등 집값 안정을 위한 정부의 규제 기조로 매수세가 다소 위축됐지만 기준 금리 인하 및 풍부한 유동성에 따른 유동자금 유입, 주요 인기단지 및 인근의 키맞추기 상승, 학군 또는 교통 호재 있는 지역의 꾸준한 수요 등에 따라 강남권 위주로 상승 폭이 늘었다.0.05%P 오른 인천은 3기신도시 기대감이 영향을 미치는 계양구와 상승 전환한 미추홀구, 검암역세권 개발사업 기대감이 서린 서구 등으로 상승 폭이 확대됐다.상승폭이 0.02%P 증가해 0.6%가 된 경기는 광교신도시와 정비사업 및 교통 호재가 있는 수원시 영통구 매탄·신동, 교통 호재와 원도심 정비사업 기대감이 있는 위례신도시와 신흥·단대동 등이 상승의 견인차 구실을 했다.전세가격도 전주에 비해 상승 폭이 늘었다. 수도권은 0.10%에서 0.13%로, 서울은 0.08%에서 0.09%로 확대됐다. 지방은 0.00%로 보합을 유지했다.시도별로 살펴보면 세종(0.19%), 경기(0.16%), 대전(0.15%), 대구(0.13%), 인천(0.12%) 등이 상승한 것에 비해 제주(-0.22%), 강원(-0.16%), 경남(-0.10%), 경북(-0.09%), 전북(-0.05%) 등은 하락했다./박상일기자 metro@biz-m.kr2019년 10월 3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한국감정원 제공
2019-10-24 박상일
2월 1만8390건 전년동기비 54.6% ↓과천 -94% 성남 -92% 안양 -75%등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급감'전월세는 11만9193건 12.7% 소폭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대책 이후 '반토막' 난 수도권 소재 주택 매매 거래량이 전·월세 시장으로 옮겨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월 수도권 주택 거래량은 총 1만8천390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54.6%(4만538건)나 줄었다. 전국적으로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4만3천44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만9천679건) 대비 37.7% 줄었다.유형별로는 아파트 거래량(2만8천293건)이 지난해 동월보다 42.7%, 연립·다세대(8천692건)는 28.2%, 단독·다가구주택(6천459건)은 21.2% 각각 감소했다.이는 9·13 부동산 대책 등 주택 규제가 강화되면서 수요가 줄어들어 거래도 위축된 것으로 풀이되는데 실제 지난달 과천, 광명, 하남 등 서울 못지않은 인기를 누렸던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량이 주저앉았다.거래량이 급감한 지역 대부분 수도권 내 규제지역으로 지정된 곳으로, 과천·광명·하남과 성남시 분당구는 투기과열지구, 구리와 안양시 동안구, 용인시 수지·기흥구는 조정대상 지역이다. 이들 지역은 각각 전년 동월 대비 과천(-94.0%), 성남(-92.2%), 광명(-89.0%), 하남(-78.7%), 용인(-76.5%), 안양(-75.4%), 구리(-67.9%) 순으로 거래량이 대폭 줄었다. 반면 전·월세 거래량은 소폭 증가했다. 지난달 수도권 전·월세 거래량은 총 11만9천193건으로 전년대비 12.7%(10만5천745건)늘었다. 지난 1월보다는 1만302건이나 증가했다. 임차 유형별 전세 거래량은 아파트가 전년 동월 대비 1% 준 33%를, 아파트 외 주택이 1.3% 준 45%를 각각 기록했다.한편 전문가들은 전·월세 거래량이 늘어날수록 보증금 반환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한국은행은 이날 발표한 '최근 전세 시장 상황 및 관련 영향 점검'이라는 보고서에서 "전셋값 10% 하락 시 전체 임대 가구의 1.5%인 3만2천가구는 금융자산 처분, 금융기관 차입으로도 보증금 반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3만2천가구 중 71.5%는 2천만원 이하가, 21.6%는 2천만∼5천만원, 6.9%는 5천만원 이상이 부족할 것으로 추정했다. /김종찬기자 chani@kyeongin.com
2019-03-25 김종찬
화성 동탄 75%·파주 운정 76% 등신도시 중심, 평균보다 비중 높아광교 A아파트는 '90%' 달하기도경기도내 아파트(오피스텔 포함)의 전세비중이 자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도시급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비중이 높게 분석되면서 투기처로 활용됐다는 지적도 나온다.12일 경기부동산포털에 따르면 도내 31개 시·군의 아파트는 총 250만8천757세대로 이중 71%에 해당하는 180만2천498세대가 전세로 확인됐다.지역별로는 이천(78.15%)의 전세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의정부 78.11%, 군포 77.69%, 고양 77.27% 등의 순이다.도 전세비중 평균치보다 높은 지역도 31개 시·군 가운데 18개 지역으로 조사됐으며 가평(65.17%), 과천(60.17%), 광명(62.83%) 등 나머지 13개 지자체는 도 평균치보다 낮았다.특히 정부가 폭등하는 집값 안정화를 위해 건설한 신도시 지역 가운데 서울 접근성과 계획 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비중이 높았다.우선 1기 신도시 지역의 경우 성남 분당(68.60%)을 제외하고 고양 일산(79.41%), 군포 산본(77.69%), 부천 중동(74.10%), 안양 평촌(72.99%) 등의 주택 소유가 자가보다 전세가 많았다. 다만 성남 분당은 신도시 개발 이전 건축허가 제한지역으로 묶인 원인 등으로 원주민 거주 비율이 타 지역에 보다 많아 자가 비중이 높았다.2기 신도시에선 계획 인구가 20만명을 넘는 화성 동탄(계획인구 41만2천명)과 파주 운정(〃 21만7천명)이 각각 75.53%, 76.33%로 전세비중이 높았다. 하지만 계획인구가 10만명이 넘는 양주신도시(계획인구 16만3천명, 70.99%)와 평택 고덕신도시(〃 14만명, 68.10%), 위례신도시(〃 11만명, 64.12%), 수원 광교(〃 7만8천명, 69.34%) 등은 도 평균치보다 낮았다.다만 이들 도시 중 일부 단지는 전세비율이 지나치게 높아 투기 목적으로 사용됐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지난 2016년 입주를 시작한 광교신도시 내 A아파트의 전세비중은 90%로 10세대 중 1세대만이 실거주 중이었으며, 위례신도시 소재 B아파트는 전체 210세대 중 170세대가 전세로 전세비중이 81%에 달했다.주택 업계 관계자는 "신도시 내 입지가 좋은 아파트들은 분양되기만 해도 추후 막대한 시세 차익을 거둘 수 있어 투기 목적으로 구매하다 보니 전세비율이 높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 그래픽 참조 /이준석기자 ljs@kyeongin.com
2019-03-18 이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