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 바로가기
검색결과
"월세 올리지 마세요", "월세가 비싸요"국내 부동산 플랫폼 다방이 '집주인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냐'고 묻는 설문에 대다수 대학생들이 이 같은 답을 내놓았다. 대학생들이 체감하는 주거비 부담이 상당하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는 답변이다.15일 다방은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4일까지 2주간 대학생 2천787명을 대상으로 2학기 자취계획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그 결과, 전체의 53.9%가 '자취한다'고 응답했다. 이번 2학기에도 대학생 2명 중 1명은 자취를 하는 것이다.이들에게 자취하는 이유를 묻자 '집이 학교와 멀어서(45%)'가 가장 많았다. 이어 '자유로운 생활을 위해(20.3%), 자기계발 시간을 늘리기 위해(20.3%)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대학생들은 대학가 원룸의 적정 월세는 얼마라고 생각하고 있을까. 보증금 1천만원에 신축, 풀옵션 기준으로 적당한 월세 금액이 얼마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49.4%가 '30만원 이상~40만원 미만'이라고 답했다.이어 '30만원 미만(26.4%)', '40만원 이상~50만원 미만(18.5%)', '50만원 이상~60만원 미만(4.8%)' 순이었다.최근 다방이 발표한 8월 임대시세리포트를 보면 서울시 평균 월세는 49만원이다.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적정 월세보다 최대 19만원 차이가 난다.서울 주요 대학가의 평균 월세도 대다수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적정월세를 웃돈다. 대학가 평균 월세 시세는 건국대가 46만원, 고려대 42만원, 연세대 48만원, 홍익대 48만원이다.다방 관계자는 "대학생이 생각하는 적정 월세와 실제 월세가 큰 차이를 보이는 등 대학생들의 주거비 부담이 상당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윤혜경기자 hyegyung@biz-m.kr교내 게시판에서 월세 원룸을 찾고 있는 대학생. /비즈엠DB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서울 원룸 월세 적정가격 표. /다방 제공
경기도가 주건 안정 정책을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도 4만 6천 가구의 임대주택을 공급한다.또 취약계층 주거진원 강화를 위해 저소득층 21만 1천 가구에 주거비를 지급하기로 했다.3일 경기도에 따르면 올해 저소득층 주거안정을 위해 총 4만 6천 가구의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저소득층 21만 1천 가구에 주거비를 지급한다.또 주거환경이 열악한 아동 주거빈곤 가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와 시범사업으로 임대주택 8가구를 공급하고, 시·군 공모방식을 통해 공동주택 10개 단지를 선정해 문서를 대신하는 전자결재시스템 운영 시범사업을 추진한다.도는 주거기본법에 따라 수립한 이번 주거종합계획에서 ▲수요 맞춤형 임대주택 공급 ▲수요자 기반 포용적 주거지원 강화 ▲속도감 있는 경기행복주택 사업 추진 ▲투명하고 효율적인 공동주택 관리문화 조성과 공동주택 품질검수 및 기술자문을 통한 부실공사 방지, 소규모 공동주택 주거환경 개선 및 안전관리 강화 ▲원도심의 지역 여건을 반영한 도시재생사업 추진 등 중점과제 5개를 선정했다.먼저 수요 맞춤형 임대주택 공급 분야를 살펴보면, 경기도는 올해 3만 3천 가구의 공공건설임대와 매입·전세임대 1만 3천 가구 등 임대주택 총 4만 6천 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또 수요자 기반 포용적 주거지원 강화정책으로 주거급여 대상자 21만 1천 가구 중 21만 가구에는 월평균 약 15만 6천 원의 주거비를, 집을 소유한 1천 가구에는 최대 1천241만 원의 주택개량비를 지원한다.이와 함께 청년층 주거안정과 저출산 극복을 위해 도가 공급하는 임대 주택인 '경기행복주택'은 2022년 1만 가구 공급을 목표로 올해 사업승인 2천490가구, 착공 3천487가구, 입주 1천695가구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외 투명한 공동주택 관리문화 조성을 위해 20개 단지에 대해 민간 전문가와 현지 합동감사를 실시하는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펼칠 계획이다.김준태 도시주택실장은 "도민의 '주거권' 보장 및 수요자 기반의 포용적 주거지원 강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취약계층 주거지원 강화 등 주거안정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정부와 시·군, 공공기관과 공조체제를 긴밀히 하고 계획을 차질 없이 시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이상훈기자 sh2018@biz-m.kr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