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을 지키며 착실하게 살면, 집을 살 수도 전세 가격을 맞출 수도 없습니다." 직장인 홍경태(38)씨는 매일 청약 정보를 확인하는 게 일과다. 집을 사려는 목적이 아니다. 집을 살 형편도 안된다. 인기 아파트 단지 청약에 당첨돼 프리미엄을 받고 분양권을 전매하는 게 그의 재테크 전략이다.
물론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 중의 전매는 불법이지만, 그의 동료들 중 많은 이가 위례·동탄·광교 신도시 청약에 당첨돼 전매를 통해 쏠쏠한 수익을 얻었다. 홍씨는 "급여를 모으는 합법적 재테크로는 날뛰는 집값·전셋값을 잡을 수 없다"며 "요즘 정치권 인사청문회를 보면 장관들도 부동산 관련 흠결은 있지 않냐"고 반문했다.
부동산에 대한 투기성 투자가 집중되며 지난 4년간 집값 상승이 지속되고 있지만, 가계소득은 사실상 정체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로소득'만으로는 사실상 내 집 마련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방증한다. 게다가 전세 가격은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지난 4년간 50% 이상 급등해, 근로자들의 전세 버티기도 한계에 다다랐다는 분석이다.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평균 소득(경상 기준)은 지난 2012년 4천722만원에서 지난해 5천124만원으로 8.5% 증가했다. 연평균으로는 2.1% 증가 수준이다.
반면 KB국민은행 부동산 통계를 통한 이 기간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억6천77만원에서 3억1천801만원으로 22% 올랐다.
전세는 1억5천526만원에서 2억3천592만원으로 무려 52% 급등했다. 연평균으로는 5.5%와 13%씩 올라 소득 증가율의 2.6배와 6.2배에 달했다. 특히 인천 전세가는 지난 4년간 83.1% 급등했고, 경기도 61%로 평균을 상회했다. 소득보다 주택가격 상승률이 훨씬 앞서다 보니, 이에 따른 소득 양극화 현상도 심해지고 있다.
한편 정부는 대출 규제 강화를 중심으로 한 부동산 대책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