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본궤도' 도시재생 뉴딜, 과제는]인프라 개선·일자리 창출… 인천 '구도심 활성화' 이정표로

  • 박경호 기자
  • 발행일 2017-12-19 제3면

창업공간·임대주택·상권살리기·커뮤니티센터 등 골자
주민참여·부동산가격 대책 미흡·실행계획 마련 목소리


최근 정부가 선정한 인천지역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 5곳은 인천의 대표적인 구도심이다. 사업 규모와 유형은 각각 다르지만, 낙후한 지역에 일자리센터나 복합커뮤니티센터 같은 '앵커시설'을 조성해 주민공동체를 활성화하고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공통적인 목표가 있다.

인천은 전체 인구의 약 76%가 구도심(관련 법상 쇠퇴지역)에 사는 도시다. 이번에 처음으로 선정된 도시재생 뉴딜 대상지 5곳의 사업 성공 여부가 인천 구도심 활성화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는 게 대다수 전문가의 주장이다.

인천 부평구 부평1동 일원에서 추진하는 '지속가능 부평 11번가' 사업은 부평미군기지(캠프마켓) 밖에 있는 미군 소유 땅을 매입해 지상 20층 규모 일자리센터와 창업공간을 건립하는 게 골자다.

현재 판잣집촌인 주변에는 청년주택 같은 공공임대주택을 짓고, 부평구청 주변 먹거리타운 경관 개선사업과 주차장 조성을 통해 상권을 살린다는 구상이다. 인천도시공사가 제안한 동구 '화수 정원마을'은 두산인프라코어 같은 주변 대기업 근로자를 위한 임대주택을 건설하고, 생활인프라를 개선할 계획이다.

인구 유입을 유도하면서 노년층 등을 위한 마을 일자리를 발굴하기로 했다. 동구 '송림골', 서구 '상생마을', 남동구 '만부마을'은 복합커뮤니티센터 조성과 마을 인프라 개선사업을 중심으로 한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이 사업 목표다.

올 5월에 출범한 새 정부가 도시재생 뉴딜정책을 다소 성급하게 추진한 게 아니냐는 전문가 시각이 있다. 이 때문에 도시재생 뉴딜의 핵심인 '주민 참여'와 사업대상지의 '부동산 가격 안정 방안' 같은 세부적인 대책 마련이 늦어져 일선 현장에선 준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기존 주민들이 떠나지 않고 개발사업을 추진한다는 취지의 도시재생 뉴딜이 오히려 부동산 가격 상승과 투기로 원주민을 내모는 '젠트리피케이션'을 일으키는 부작용을 막기 위해 인천시가 구체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정부는 사업 대상지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사업 시행을 연기하거나 중단한다는 방침이어서 주민이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정부 도시재생 뉴딜 대상지 공모 심사 과정에 참여한 한 민간 전문가는 "내년부터 해마다 추가로 도시재생 뉴딜 대상지를 선정해 여러 사업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면, 사업별 추진 동력이 약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전문가는 또 "내년 6월 지방선거의 영향을 받아 사업구상이 난립하지 않도록 대책을 세우고, 사업을 일관성 있게 이끌 현장 활동가 양성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

비즈엠 포스트

비즈엠 유튜브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