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방경협, 동해안서 유라시아 대륙 연결 철도 본격 추진

  • 이상훈 기자
  • 입력 2018-06-18 16:56:23

2018061801001331400066861.jpg
1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북방경제협력위원회 2차 본회의에서 송영길 위원장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가 동해안에서 유라시아 대륙을 잇는 철도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또한 북극항로도 내륙수로와 연계된 물류루트를 개발해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 자원개발 기회를 적극적으로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북방경제협력위원회는 1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송영길 위원장 주재로 정부위원과 민간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2차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신북방정책의 전략과 중점과제'를 확정했다.

북방위는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북, 중, 러 접경지역 경제특구 개발을 한반도 신경제구상과 중국의 동북 3성 진흥전략, 러시아의 신동방정책 등의 개발전략을 연계하는 동북아 경제협력의 모델사업으로 정했다.

검토 대상은 신의주·단둥, 나선 지역과 훈춘·하산을 연결하는 경제특구 개발, 나진·하산 프로젝트 사업 등이다.

또 한반도 철도와 대륙철도 연결에 대비해 강릉에서 제진까지 동해북부선 조기 착수를 추진하는 한편, 유라시아 대륙철도와의 연계성 강화를 통한 철도·해운 복합운송 활성화로 운송 기간을 단축한다는 계획이다.

2018061801001331400066862.jpg
1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북방경제협력위원회 2차 본회의에서 송영길 위원장(오른쪽 네번째)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또한 러시아 철도와 시베리아횡단철도(TSR) 요금인하를 비롯한 부족한 회차 문제 해소 등을 위한 공동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중국 정부와 협의해 중국대륙철도(TCR)의 우리 기업전용 블록 열차 운영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 외에 남북한과 러시아 가스관 연결은 경제적 기술적 타당성 검토를 위한 공동연구를, 북극항로는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상업적 항로 활성화는 장기프로젝트로 진행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우선 내륙수로와 연계된 물류루트를 개발해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 자원개발 기회를 적극적으로 발굴할 예정이다.

아울러 러시아를 거점으로 한국형 보건의료시스템을 중앙아시아로 확산하고, 디지털 의료기술, 제약 의료기기 등 유망 성장산업에 민관협력을 통한 진출을 강화하는 등 이번에 확정된 신북방정책 전략과 중점과제를 구체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

비즈엠 포스트

비즈엠 유튜브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