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신도시 팽창 '어제와 오늘']개항후 일자리·매립된 땅… '인구 폭발적 증가'

  • 김민재 기자
  • 발행일 2018-12-21

1960년 40만명·6년후 50만명 돌파
중·동구 유입효과 없어 '공동화'
송도·청라 등 탄생 '핵심 성장축'
강화·옹진 편입 '해양도시 위상'
市, 계양 '先산단 後 주거단지로'


인천의 신도시 팽창은 개항과 공업도시 형성, 해안 매립과 주변 도시 편입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이뤄져 왔다.

개항으로 없던 일자리가 생기면서 인구가 늘었고, 매립으로 없던 땅이 생겨났다. 도시 광역화로 강화와 옹진, 검단(김포)이 편입돼 행정구역도 커졌다.

계양 테크노밸리는 이런 인천 도시 팽창의 역사 속에서 일자리와 주거지를 함께 조성하는 새로운 길을 열 것으로 주목되고 있다.

일본인들이 1933년 펴낸 '인천부사'를 보면 1910년 인천의 인구는 3만1천11명으로 이 가운데 외국인이 1만6천191명으로 오히려 더 많았다.

해방과 전쟁을 거치면서 50년 뒤인 1960년 인천의 인구는 40만명을 돌파했고, 6년 뒤 50만명을 넘어섰다. 부평과 주안을 중심으로 신시가지가 형성되면서 인구의 80%가 이 일대에 집중되는 불균형 현상이 나타난다.

이때부터 중구·동구는 인구의 유입이 없이 구도심으로서 공동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송도와 청라, 영종경제자유구역은 바다를 매립해 만든 도시다. 123.8㎢의 부지에 계획된 시가지를 조성해 총 계획인구 53만명으로 구상됐다. 1990년대부터 시작된 매립사업은 이제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고, 인천의 핵심 성장 축으로 자리매김했다.

경기도였던 강화군과 옹진군, 서구 검단의 편입(1995년)은 인천에 새로운 기회를 준 땅이다. 강화와 옹진은 해양도시로서의 위상에 더 큰 힘을 실어줬고, 최근에는 남북 교류의 거점 도시로서 도약을 앞두고 있다.

농촌 지역이었던 검단은 소규모 택지개발 방식으로 곳곳에서 개발을 이어왔고, 2006년 수도권 2기 신도시에도 포함되면서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주거 용지를 공급하고 있다.

계양 테크노밸리의 사업은 검단신도시에 이은 인천 북부권 발전의 또다른 중심축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시의 도시 발전은 이제 외연의 확장 만큼이나 내부를 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다. 1960~80년대만 해도 계획에 따라 형성된 마을은 이제 낙후돼 2000년대 초반 재개발·재건축을 통한 신도시로의 전환을 도모했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로 사업은 사실상 실패했고, 슬럼화된 구도심 사람들은 새롭게 형성된 신도시로 떠나 공동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계양 테크노밸리 사업이 구도심의 공동화를 가속화 하고, 주변의 신도시 발전을 저해한다는 걱정이 나오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인천시는 구도심의 인구 유출과 베드타운화를 방지하기 위해 계양테크노밸리를 '선(先) 산업단지, 후(後) 주거단지'로 꾸미겠다는 계획이다.

산업단지의 배후 지역으로서 수요에 맞춰 주거 계획을 세우고, 청년과 신혼부부 중심의 주거 계획으로 외지인의 순수 유입을 늘리겠다는 구상이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

비즈엠 포스트

비즈엠 유튜브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