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구 청라국제도시 내에서 복합로봇단지 조성 사업을 추진하던 특수목적법인(SPC)이 청산되고, 인천도시공사가 사업권을 넘겨 받게 될 전망이다.
인천시는 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인천로봇랜드사업 시행위탁 SPC인 인천로봇랜드(주)를 청산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주주사, 관련 기관 등과 협의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인천로봇랜드는 자본금 160억원 가운데 5억원도 남지 않은 상태다. 국·시비를 투입해 건립하는 시설을 제외한 테마파크 등 사업에 난항을 겪으면서 자본잠식 상태로 이어졌다. 인천로봇랜드는 용역이나 인건비 등으로 자본금을 소진했고, 현재 상태로 운영될 경우 오는 6월이면 자본금을 모두 다 쓰게 된다.
SPC 민간주주사인 (주)한양 등은 증자를 통해 자본금을 확충하자는 입장이지만, 시는 증자를 해도 사업 정상화에 어려움이 있는 만큼 청산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인천로봇랜드와 관련해 최종적으로 결정해야 하는 시기가 됐고, 협의하고 있다"며 "다음 달 중에 최종 결정을 내리고, 도시공사가 직접 사업을 하도록 하는 것이 현재 방향이다"고 했다.
하지만 로봇랜드 사업권이 사업 부지 소유주인 도시공사로 넘어가도 사업 정상화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애초 계획대로 로봇랜드로서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사업성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로봇랜드 부지 토지이용 계획을 보면 전체 부지 76만7천286㎡ 가운데 약 80%에 달하는 땅이 테마파크 등 유원시설과 광장·공원 등 기반시설 용도로 돼 있다.
도시공사 관계자는 "전반적인 사업계획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로봇 산업 진흥이라는 당초 기조로 가면서 자금회수를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민간주주사에서는 SPC 청산에 대해 반대 입장을 밝힌 상태라 로봇랜드를 둘러싼 분쟁도 예상된다. 사업 부지 내에 국·시비 1천190억원을 투입해 짓고 있는 건축물에 대한 소유권 다툼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로봇산업지원센터와 로봇연구소의 건축주는 SPC로 돼 있는데, 인천시는 건축주 변경을 통해 시로 소유권을 가져온다는 계획이다.
인천로봇랜드(주)관계자는 "주주사와 인천시가 아직 청산 여부를 놓고도 이견이 있다. 건축물에 대한 부분도 소유권을 어디에 있다고 봐야 할지에 서로 생각이 달라 협의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