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세종 간 고속도로 성남~구리 구간에 4곳의 나들목(IC)과 1곳의 분기점(JCT)이 생길 예정이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는 지난 1일부터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 사업구간 내 지자체(광주·구리·성남·하남 및 서울 강동구) 주민을 대상으로 '서울~세종(성남~구리) 고속도로 건설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에 대한 주민공람을 실시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서울~세종을 연결하는 이 사업은 연장 129㎞(전구간 6차로) 도로건설 사업으로 주민공람이 끝나면 도공은 우선 구리시 수택3동~광주시 광남동(21.87㎞) 구간에 대해 연내 착공에 나설 예정이다.
공사는 총 5개 공구로 나눠 진행되며, 입체교차로 5개소(분기점 1개소(서하남JCT), 나들목 4개소(남구리IC, 강동IC, 감일초이IC, 광주성남IC)가 건설될 예정이다. ┃지도 참조
도공은 당초 2개의 나들목(서하남IC를 이설해 초이IC 신설, 남구리IC)과 1개의 분기점(서하남JCT 신설)으로 사업을 추진하려 했으나 예비타당성 검토 결과 사업구간 내 남한산성 공원시설, 위례신도시, 집단취락지역 저촉 및 환경, 민원 제기를 우려해 노선 주변 지장물 저촉을 최소화하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올림픽대로 및 강변북로와의 연계성이 우수한 현재의 계획노선안 변경, 주민공람을 추진하게 됐다.
이와관련 도공은 오는 19일 구리·하남을 시작으로 20일 성남·서울 강동, 21일 광주지역 사업구간 입주민을 대상으로 주민설명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도공 관계자는 "전체 사업구간을 민자로 추진하지만, 우선 서울~안성 구간은 시급성을 고려해 도공에서 우선 착수하고 민자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며 "설계 등 공사절차를 진행하면서 민자 적격성 검토, 사업자 선정 등 민자사업 절차를 병행하고, 연내 착공을 시작으로 2022년 개통될 수 있도록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공은 서울~세종 간 고속도로가 건설되면 경부 및 중부 고속도로 혼잡구간 감소 및 스마트 하이웨이 구축으로 편리하고 안전한 도로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서울~세종 간 주행시간이 70분대로 단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광주·하남/이윤희·최규원기자 mirzstar@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