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최북단 섬 백령도 주민들의 숙원 사업이었던 백령도출발 아침 여객선 운항이 서해 5도 지원 특별법 개정을 통해 추진된다.
2일 인천지방해양수산청 등 관계기관에 따르면 행정자치부와 해양수산부,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인천시, 옹진군은 최근 회의를 열고 서해 5도(백령~인천) 여객선 추가 운항을 위한 대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행자부 등 관계기관은 서해 5도 특별법 개정을 통해 백령도투입 여객선 운영 선사에 국비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현재 특별법에는 '주민의 육지왕래 및 생활필수품의 원활한 유통·공급에 관한 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지만, 여객선 운영비 지원이라는 구체적인 조항은 없다. 이에 관계기관은 서해 5도 운항에 투입되는 여객선에 국비를 지원할 수 있는 문구를 삽입해 백령도 여객선 운항 재개를 추진하기로 했다.
국비지원 방식은 적자보전, 최소이윤 보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올해 하반기 특별법 개정이 이뤄지면, 서해 5도 종합발전계획 수정을 통해 이르면 내년부터는 신규 투입선박 운영사에 국비를 지원할 근거가 마련될 전망이다.
과거 인천~백령도 항로는 매일 아침 인천항에서 출발하는 여객선 2척, 백령도에서 출발하는 여객선 1척 등 모두 3척이 운항했다. 하지만 지난 2014년 11월 백령도 아침출발 여객선이 적자를 이유로 운항을 포기하면서 주민들은 큰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성수기나 주말, 결항 후 운항재개 시 배표 부족 사태가 빚어지고 있다. (경인일보 2월 22일자 1·3면 보도) 이에 백령·대청·소청도 주민 3천여명은 백령출발 아침 여객선 부활을 위한 대 정부 서명운동을 진행해 지난달 초 건의서를 관계기관에 제출했다.
옹진군 관계자는 "관계기관이 특별법 개정을 통해 신규 여객선사 투입을 유도하자는 데는 큰 틀에서 합의를 했다"며 "구체적인 지원방안과 예산 등은 추후 논의를 통해 풀어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