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중공업이 공유수면(바다)으로 갈라진 시흥 배곧신도시와 인천 송도를 4차선 교량으로 잇겠다며 시흥시에 제출한 '배곧대교 민간투자사업(경인일보 2014년 11월 4일자 21면 보도)' 계획이 적정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하지만 사업계획 초기에 제기된 송도갯벌(람사르 습지) 관통 등 환경적 문제(경인일보 2014년 11월 11일자 22면 보도)를 풀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어 사업추진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조감도 참조
시흥시는 1일 '배곧대교 민간투자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 적격성 조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밝혔다.
'배곧대교 민간투자사업'은 시흥 배곧신도시(정왕동)와 인천 송도국제도시(연수구 송도동) 사이의 경기만 해상구간을 해상교량(1.89㎞)으로 연결, 소래대교와 제3경인고속화도로 정왕IC의 극심한 교통체증을 해소하고 두 도시 간 상호보완 및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시흥시는 지난해 9월 KDI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에 적격성 조사를 의뢰했다.
그 결과 경제성(B/C) 평가가 1.05로 나왔다. 통상 B/C가 1을 넘으면 비용대비 편익이 높다는 의미로 해당 사업의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PIMAC는 적정성 여부를 최종 판단, 국·시비가 투입되는 재정사업보다 민자로 추진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결론을 냈다.
이에 따라 시흥시는 9월 중 시의회 동의를 얻어 제3자 공고를 내고 12월 우선협상대상자를 지정할 방침이다. 협상과 동시에 실시설계를 진행하면 2018년 7월에는 착공, 2022년 6월말 완공이 가능하다는 것이 시흥시의 설명이다.
배곧대교 민간투자사업의 총 사업비는 1천845억원으로, 운영수입보장이나 재정지원이 전혀 없는 조건으로 한진중공업이 2014년 10월 시흥시에 사업을 제안했다.
시흥시 관계자는 "배곧대교를 이용할 경우 기존 소래대교나 정왕IC를 이용할 때 보다 이동시간은 6~11분, 이동거리는 5~8㎞ 단축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며 "특히 교통혼잡 완화, 통행시간 절감 등 주민편익개선이 기대되며 지역 고용창출 및 경제활성화 등으로 시흥시뿐만 아니라 인천, 경기도 전체의 발전요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흥/김영래기자 yr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