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청라국제도시와 서울 양재를 잇는 M버스 신설 노선을 놓고 주민들 간 갈등이 심해지면서 개통이 지연되고 있다.
24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국토교통부에 청라~서울 양재 구간 M버스 운송 사업자(신동아교통)의 면허 승인을 잠정 보류해달라고 요청했다.
시와 신동아교통은 지난해 12월 국토부가 주관한 M버스 모집에 청라~서울 양재를 기·종점으로 하는 노선 신설을 신청했다.
M버스는 1대당 최소 220~230명이 타야 운송 사업자가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인 탓에 인천시와 사업자 측은 사업성 확보를 위해 청라에서 서울로 곧바로 가는 것이 아닌, 계양구 작전역을 거쳐 서울로 진입하는 방향을 확정했다. 속도를 높이기 위해 국토부는 BRT(간선급행버스) 노선을 사용해도 된다고 승인하기도 했다.
그러나 청라지역의 주민 단체인 청라국제도시총연합회는 "주민들의 서울 출퇴근 수요를 위해서는 M버스가 청라에서 청라IC를 지나 서울 양재로 바로 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반대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계양구를 거쳐 돌아가게 되면 광역교통망 구축을 목표로 하는 M버스 노선의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반면 다른 단체인 '청라시민단체협의회'는 청라에서 강남으로 가는 M버스 도입이 시급한 만큼 작전역을 거치는 노선으로라도 신설을 해야한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M버스는 시 보조금을 받지 않고 운임에 의존하는데 사업성이 없어 무산되는 편보다는 M버스를 하루빨리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같은 청라 주민 사이에서도 의견이 팽팽하게 엇갈리면서 부담을 느낀 시가 국토부에 운송 사업자의 면허 승인을 보류해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시 관계자는 "국토부도 면허 승인에 부담을 느끼면서 주민의 불편만 커지고 있다"며 "아직 추후 협의 계획은 없지만 노선 신설이 무산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