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성수 행정부시장이 28일 오전 인천시청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검단새빛도시 활성화 계획 기자 설명회'에서 개발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
중앙대·스마트시티 등 앵커시설 유치 잇단 실패 '베드타운' 우려
자족기능 강화방안 수립 불구 구체적 콘텐츠 아직 없어 과제 산적'수도권의 마지막 신도시'라 불리는 인천 서구 검단새빛도시 사업은 올 1월 인천시와 두바이 측이 검단 스마트시티 사업 합의각서(MOA)를 체결한 후 사실상 사업이 중단됐었다. 사업이 1년여 동안 늦어진 데에 따른 금융손실만 1천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를 만회하고자 인천시는 사업 1단계 기반시설 공사를 올해 안에 발주하는 등 2023년 준공까지 사업 추진 속도를 최대한 높이고, 특화전략을 수립하는 등 자족도시를 만들기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중앙대 인천캠퍼스·캠퍼스타운 건설, 검단 스마트시티 코리아 사업 등 검단새빛도시의 사업성을 높이기 위한 '앵커시설' 유치에 잇따라 실패하면서 서울의 '베드타운'으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시가 28일 발표한 검단새빛도시 특화전략은 4차산업 관련 '새빛테크노밸리 구축',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한 제로에너지타운 조성 등 '에코힐링도시', 영어마을 등 주변 교육시설과 연계한 '교육문화도시' 등이다.
검단새빛도시의 자족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큰 틀만 제시했을 뿐 구체적인 콘텐츠는 아직 마련하지 않았다. 게다가 검단새빛도시 특화전략이 주변 대규모 개발사업 구상과 겹친다는 지적이 많다.
시가 청라국제도시 내에 추진하고 있는 인천로봇랜드 조성사업은 민간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8년째 정체된 상태다. 시는 최근 인천로봇랜드 정상화 방안으로 사업계획 일부를 변경해 4차산업 관련 산업단지를 조성한다는 방침인데, 검단새빛도시의 '새빛테크노밸리'와 중복된다.
'교육문화도시'도 인천시교육청 등을 서구 루원시티로 옮기는 '교육행정타운'과 어떻게 차별화할지에 대한 구상도 아직 없다. 대학교 캠퍼스 유치 등 앵커시설이 필요하지만, 시가 추진했던 검단새빛도시 내 중앙대 인천캠퍼스·캠퍼스타운 건설 사업은 사업성 부족으로 지난해 5월 시한이던 기본협약조차 이뤄지지 않았다.
시가 두바이 측과 협상하다가 결국 검단 스마트시티 사업이 무산된 것은 앵커시설 등 추후 투자유치에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대학교 등 앵커시설 유치는 계속 추진할 것"이라며 "영화 스크린 40~50개를 갖추고, 웨딩이나 공연도 가능한 대형 멀티미디어센터 유치 등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승우 인천도시공사 사업개발본부장은 "수도권에 수많은 신도시가 개발됐지만 이제껏 실패한 신도시는 없었다"며 "처음부터 자족기능을 갖춘 신도시를 만들기는 어렵기 때문에 주민이 검단새빛도시에 들어온 이후 장기적으로 자족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개발계획을 짜겠다"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