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반 갈등 '소래IC' 10년만에 수면위로

빠르면 이달말께 용역 보완 결과
인천시, 주민의견 듣고 설치여부 결정
  • 목동훈 기자
  • 발행일 2017-01-04
영동고속도로 소래IC 설치 여부에 대한 논의가 약 10년 만에 다시 시작될 전망이다. 그동안 인천시는 "교통편의를 위해 설치해 달라" "소음·먼지 유발하는 소래IC 반대한다" 등 주민들의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 소래IC 설치 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는데, 또다시 주민들 사이에서 해묵은 논란이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3일 인천시와 LH에 따르면 '영동고속도로 소래IC 설치 타당성 용역' 보완 결과가 이달 말이나 내달 초 나올 예정이다.

소래IC는 인천시와 한국도로공사 간 협약에 따라 1996년 계획됐다. LH(당시 대한주택공사)가 논현2지구 개발에 나서면서 '소래IC 설치'(교통영향평가 사항)를 맡게 됐고, 소래IC 설치 계획이 알려지자 주민들 사이에선 찬반 의견이 갈렸다. 찬반 갈등은 2007년까지 계속되다가 소래IC 설치 사업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으면서 수그러들었다.

시는 이달 말 또는 내달 초 타당성 용역 보완결과가 나오면 주민의견을 조사할 계획이다. 용역 보완결과와 주민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소래IC 설치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시와 LH는 2007년 시행한 용역결과에 최근 교통데이터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소래IC가 주변 교통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했다. 시 관계자는 "현시점의 교통량으로 소래IC 설치 효과를 재분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찬반 갈등이 재현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소래IC 설치에 찬성하는 주민들은 "교통편의를 위해 소래IC가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대하는 쪽은 '화물차 통행으로 인한 소음·먼지 발생' '소래IC 주변 및 논현2지구 차량 정체' 등을 걱정한다. 소래IC 건설 예정지 주변, 화물차 통행이 예상되는 도로변 주민들의 반대가 심하다.

LH 관계자는 "소래IC 설치 여부는 인천시가 결정할 것"이라며 "설치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이 날 경우 소래IC 건설 사업비(450억원)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협의가 시작될 것 같다"고 했다.

한편 시는 소래와 월곶 등 인천과 시흥을 잇는 소래대교 및 소래로 확장 공사를 시작했다. 총 공사 구간은 소래대교삼거리 부근부터 소래IC 건설 예정지 인근까지 약 1.4㎞로, 1·2단계로 구분돼 진행된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