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사업자 선정·시설인수 TF팀 구성 등 대응 본격화 "민자운영 중 최초 사례… 운행 중단 안되도록 온힘"
지난 11일 의정부경전철(주)의 파산신청으로 경전철 정상운영을 위한 의정부시의 대응이 본격화됐다.
의정부시는 12일 성명을 내고 "이 시간 이후부터 시는 '대체사업자 선정' '시설물의 안정적 인수' 등 파산이후 경전철 안정화를 위해 차분하고 빈틈없이, 시민들의 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이와 함께 시는 사업시행자 파산에 대응하기 위한 TF팀을 구성해 대체사업자 선정과 시설인수·재원조달·시민홍보 등 분야별로 적극적인 대책을 세울 계획이다.
성명서에서 시는 "7개 출자회사들이 시의 운영비 지원 제안을 거부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도외시한 채 실시 협약상 30년간의 경전철 운영의무를 저버린 결정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며 "재정지원 의무가 없는 시가 경전철의 파행을 막고자 운영비 지원을 제안했지만 사업시행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외면한 채 오로지 사익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공공적 성격의 사업을 너무도 쉽게 포기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사업시행자의 파산신청은 민간투자사업이 운영 중 파산하는 최초의 사례"라고 설명했다.
시는 "만약 거액의 해지시지급금 수령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시행자의 파산신청이 받아들여진다면 이는 민간투자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의 도덕적 해이를 용인하고 실시협약의 책임을 면탈시키는, 공익에 중대히 반하는 결정"이라고 주장했다.
의정부시는 "대체사업자 선정은 유사한 추진사례를 검토해 공익성은 물론 재정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시민이 경전철을 이용하는데 아무런 불편함이 없도록 운행이 중단되는 상황이 일어나지 않게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