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세종고속도로의 광주시 직동구간(9~10공구) 노선을 놓고 민민(民民) 갈등(경인일보 2016년 7월 8일자 21면 보도)이 야기된 가운데 노선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서울~세종고속도로 직동·목동구간 갈등조정협의회(이하 조정협의회)'가 새로운 갈등을 유발하는 모양새가 돼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해 9월 한국도로공사는 직동·목동 비상대책위원회와 광주시·건설사·설계사·사회갈등연구소 등이 참여한 가운데 협의회 발족식을 갖고 해당 구간 노선과 관련된 협의를 진행하고 나섰다.
조정협의회는 당초 굽은 형태의 9~10공구 노선을 직선화로 변경한 대안노선을 내놓고 현재 2차 협의에 들어간 상태다.
하지만 대안으로 제시된 노선과 관련해 직동·양지·목동마을의 일부 주민들이 '조정협의회가 제시하고 있는 변경노선 안이 오히려 주민 간 갈등만 유발하고 있다'며 최근 국무총리실과 한국도로공사·국회의원·광주시청·시의회 등에 탄원서를 제출해 논란이 새 전환을 맞고 있다.
이들이 낸 탄원서에는 "고속도로 건설을 반대하고 노선 이전을 주장하는 소수의 민원이 발생했다고 해 이미 고속도로 결정고시와 사업자 선정까지 끝난 마당에 노선을 재검토한다는 명분으로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며 "한국도로공사가 왜 확정된 노선(결정고시)을 원칙도 무시하고 바꿀 수 있다는 식으로 소문을 내 민민 갈등을 초래하는지 모르겠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협의회에 주민대표 자격으로 있는 직동·목동비대위에 대해서도 '주민의 대표자격을 부여받은 적이 없는데도 마치 마을주민들의 전부 의견인 것처럼 행동해 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조정협의회는 지난해 1차 협의를 진행한 데 이어 이달 초 2차 협의에 들어가 노선협의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