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수 특검팀이 31일 검단 스마트시티사업 추진 과정에 문제가 없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인천시의 관련 공무원을 참고인 자격으로 불러 조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공무원은 지난 2015년 스마트시티 관련 업무 추진을 위한 유정복 인천시장 두바이 출장 시 동행한 인물이다. 특검의 향후 수사확대 여부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검은 이날 오후 2시 인천시 소속 공무원 A씨를 특검 사무실로 불러 2015년 두바이 출장 때 있었던 상황 등을 이날 늦게까지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인천시의 관계자는 "스마트시티 사업이 안종범 전 청와대 경제수석이나 최순실 등과 연관됐다고 (특검이) 보는 것 같은 데 오인하는 것 같다"며 "사업이 잘 추진됐다고 하면 또 몰라도 결과적으로 사업 자체가 무산되지 않았느냐. 전혀 관련성이 없다"고 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2015년 3월 두바이 출장에서 두바이 투자청 측과 스마트시티사업 추진을 위한 투자의향서(LOI)를 교환했다. 검단스마트시티 사업은 중동자본으로 서구 검단새빛도시 470만㎡에 글로벌기업들을 유치해 업무·주거·오락·교육 기능을 복합한 자족도시를 건설하는 것이다.
양측은 1년 8개월간 협상을 벌였지만,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고 지난해 11월 최종 결렬됐다. 인천시는 스마트시티 사업 과정에서의 청와대 관련설을 지속해서 부정해 왔다.
감사원은 인천시를 상대로 검단 스마트시티사업 추진 과정에 대한 감사를 진행하고 있다. 인천지역 시민단체들은 앞서 인천시가 철저한 준비·검증 없이 투자유치에 뛰어드는 부실행정을 벌였고, 1천억원으로 추정되는 금융이자를 부담해야 하는 상황을 만들었다는 등의 이유로 감사원에 공익 감사를 청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