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인천~용산 9개역 정차 '특급 전동열차' 도입

경인선 이용시간, 40분으로 단축… 이르면 이달중 첫 투입
수인선 출·퇴근 중심 급행열차 운행 '교통편의 개선' 기대
  • 이현준 기자
  • 발행일 2017-06-23
경인전철 동인천역부터 용산역까지 총 9개 역만 서는 '특급 전동열차'가 이르면 이달 말부터 운행된다. 수인선 전철에도 급행열차가 새로 도입될 전망이다. 인천과 서울 간, 인천과 경기 간 철도 이용객들의 교통편의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22일 정부 당국에 따르면 경인전철 동인천역에서 용산역까지 정차역을 최소화 한 '특급 전동열차'가 이르면 이달 말이나 늦어도 7월 초부터는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다.

특급 전동열차의 정차역은 주안, 부평, 구로, 신도림, 노량진 등 환승역을 포함해 이용객 수가 많은 송내역과 부천역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동인천역에서 용산역 사이 24개 모든 역을 서는 일반 열차를 타면 1시간 정도 걸리는데, 이번 특급 전동열차를 타면 40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루 20차례 가까이 운행된다.

동인천역~용산역 구간은 이미 특급 전동열차가 지나갈 때 일반열차가 피해 있을 대피선을 확보하고 있다. 특급 전동열차가 운행되면 기존 동인천역~용산역 사이 14개 역을 정차하는 급행열차의 운행 횟수는 소폭 줄어들 전망이다.

인천역~오이도역까지의 수인선 노선에도 급행열차가 다닌다.

인하대와 연수, 원인재, 논현, 소래포구역 등 5개 역만 정차하고, 출·퇴근 시간을 중심으로 하루 10차례 가까이 운행될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인천역을 출발해 오이도역까지 가려면 13개 정차역을 거쳐야 한다. 30분 정도 시간이 걸린다. 급행열차를 타면 운행시간이 크게 단축될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선거 과정에서 "출퇴근 이용자가 많은 노선부터 급행열차를 대폭 확대하겠다"고 공약했다. 국토교통부는 초급행 전철 도입 방안을 문재인 정부 인수위격인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 지난 달 보고하기도 했다.

관련 사정을 잘 아는 한 관계자는 "경인전철 특급 전동열차와 수인선 급행열차가 도입되면, 수도권 철도 이용객들의 편의가 크게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라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