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경기도 '버스사고 재발 방지' 한목소리

18명 사상 M버스 참사 관련
전방추돌·차선이탈 경보 등
졸음운전 예방 대책 팔걷어
  • 김순기·황성규 기자
  • 발행일 2017-07-12
최근 18명의 사상자를 낸 경부고속도로 버스 추돌사고와 관련, 11일 경기도와 정부가 한목소리로 안전장치 마련 등 대형차량 사고 재발 방지책을 내놨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이날 도정점검회의에서 지난 9일 발생한 수도권 광역급행버스(M버스) 사고를 언급하며 도내 광역버스(G버스) 2천300여대에 전방추돌 경보, 차선이탈 경보, 홍채인식시스템 등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ADAS)'의 우선 도입과 비상자동제동장치 설치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버스 시설 개선사업 ▲버스 운수종사자 교통안전 체험교육 ▲운전자 휴게 시간 준수 여부에 대한 점검 등의 세부 추진 사항들도 제시됐다.

남 지사는 "국민들이 불안해할 땐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안전기금으로 하든, 그게 안 되면 추경으로 하든 가장 빠른 방법을 찾도록 하라"고 강력히 주문했다.

또 버스 운전기사의 과다한 근무 시간에서 사고가 비롯되는 구조적 문제를 지적하며, 이를 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남 지사는 이날 오후 수원 서둔동에 위치한 경진여객 차고지를 방문해 광역버스 운전기사와 간담회를 갖고 이들의 애로사항을 직접 청취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운전기사들은 현장의 과도한 근로시간에 대해 가감 없이 의견을 전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도 같은 날 대형차량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것과 관련, '대형차 추돌 경고장치 장착' 의무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버스나 화물차에 차로 이탈 경고장치 장착이 의무화됨에 따라 지자체가 장착 비용을 보조하는 등의 교통안전법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한 뒤 이 같은 입장을 꺼냈다.

청와대 박수현 대변인은 이에 대한 브리핑에서 "졸음운전으로 인한 대형사고와 관련해 전방추돌 경고 장치를 의무화하자는 즉석 제안과 토론이 이뤄졌다"며 "문 대통령은 '아주 좋은 의견이고 시간을 갖고 충분히 토론하되, 예산이 좀 들어도 국민의 안전과 생명에 관한 일이라면 하는 방향으로 추진해 보자'고 말했다"고 전했다.

/김순기·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