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경 공기부양정. /경인일보DB |
인천시와 인천관광공사가 섬 관광 활성화 차원에서 여객 항로가 없는 섬에 공기부양정을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공기부양정을 타는 것 자체가 관광 상품이 될 수 있고, 수륙양용으로 움직이는 부양정의 특성을 살리면 수심에 상관없이 관광객들이 인천 연안 섬을 빠르고 안전하게 갈 수 있다는 것이 도입 배경이다.
인천시는 연안 섬에 관광객들을 실어 나르는 공기부양정 투입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호버크래프트(Hovercraft)'라고도 불리는 공기부양정은 주로 군(軍)이나 해양경찰이 많이 사용해 왔지만 국내에도 민간 제작사가 생겨 이미 일부 자치단체에서는 주민들의 교통수단으로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인천시는 1대당 3억원 수준인 10인용 공기부양정 2~3대를 구입해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경관이 빼어나고 관광지로서 손색이 없지만 여객선이 다니지 않아 관광객들의 발길이 닿을 수 없는 무인도나 연안 작은 섬에 공기부양정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인천에는 총 168개의 섬(유인도 40개)이 있지만 정기 여객선이 들어가는 곳은 12개 항로에 불과하다.
공기부양정은 평상시 관광용으로 사용되지만 일반 여객항로를 운항하는 배에 문제가 생겨 결항되거나 응급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예비용으로 부양정을 투입할 수도 있다는 게 관광공사 측의 설명이다.
인천 연안에 있는 무인도인 사렴도의 경우 민간 개발자가 나서 현재 유원지 조성 사업이 추진 중인데 이곳 역시 사업자가 공기부양정 2대를 도입해 운항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중구 영종도 거잠포항과 사렴도 사이 2.2㎞를 운항하게 된다.
관광용은 아니지만 충북 옥천군의 경우 대청호 주변에 사는 주민들의 교통수단으로 공기부양정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호수가 얼어붙는 겨울철에는 바깥출입이 곤란해지는 이곳 주민들을 위해 옥천군과 수자원공사가 예산을 들여 투입해 운영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내부 검토 결과, 공기부양정 도입에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내년 예산에 반영해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