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연장에 수요 늘지않고
최저임금 인상등 경영난 가중
준공영제 시내버스보다 저임금
기사들 이직 행렬까지 '이중고'
사고 위험… 감회등 필요 지적
인천 광역버스 업체가 구인난과 운송 적자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인천시 예산으로 인건비를 지원하는 준공영제 버스 기사보다 낮은 임금 등으로 이직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 인력 수급이 원활하지 않아 '초보 기사'가 많고 노동 강도는 갈수록 심화돼 사고 위험은 높아지고 있다.
지하철 노선 연장 광역 운송 시스템의 확대 등으로 운송 수요는 늘지 않아 경영난은 가중되고 있다. 광역버스를 감독하는 자치단체가 '버스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이 같은 현실을 직시하고, 중장기 대책을 마련해 시행해야 한다고 버스 업체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인천~서울 구간의 광역버스를 운행하는 A사는 최근 기사 3명이 퇴직하면서 극심한 인력난을 겪고 있다. 차량 1대당 2.2명이 확보돼야 격일제 근무로 노선 버스를 운행할 수 있지만, 준공영제 시내 버스를 선호하는 기사들이 하나둘씩 빠져나가면서 차량 1대당 1.8명까지 축소됐다.
광역버스 B사의 경우 지난 해 상반기에만 40명 이상의 기사들이 준공영제 버스 등으로 이적했다. B사 관계자는 "준공영제 회사들의 입사 기준이 완화되면서 광역버스는 운전 교습소로 전락됐고, 초보자들을 고용하다 보니 사고율도 높은 실정"이라고 하소연했다.
업계에 따르면 3년차 기준 준공영제 노선 버스 기사는 광역 버스 기사보다 매월 100만원 가량을 더 받아간다.
경영난도 심각하다. 인천의 한 광역버스 회사는 인천~서울 광역 버스 노선을 몇 차례 감차했지만 경영난이 개선되지 않자 폐선을 신청하고 인천시와 협의 중이다.
인천 광역버스는 출·퇴근 시간대를 제외하면 승객이 많지 않다. 이 회사 관계자는 "준공영제 버스 운송 수입금의 절반에도 못 미치며 차량을 운행하는 상황에서 적자 운영이 계속돼 급여 인상 여력이 없다"라며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분을 반영했을 때 노선 운행이 불가능할 것 같아 불가피하게 폐선을 신청했다"고 말했다.
인천의 광역버스 업체들은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따라 기사들에게 최소 휴게 시간을 보장해야 하고, 사업 계획에 따른 회전수를 운행하는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 하지만 출퇴근 시간대 교통 정체, 시민 민원 해소를 위한 노선 연장 등의 이유로 정해진 기준에 따른 휴게 시간 보장이 힘든 상황이다.
인천의 광역버스 회사 관계자는 "왕복 2시간 운행에 15분 휴게 시간을 보장해야 하는데, 출퇴근 시간의 경우 왕복 운행 시간이 계획보다 길어지면 '배차 간격 유지'를 위해 기사 휴게 시간을 조정할 수밖에 없다"라며 "이 때문에 회전수를 줄이기 위한 감회 신청도 해봤지만, 배차 간격 증가에 따른 민원을 우려해 지자체가 수용하지 않고 있다"며 답답해 했다.
최근 인천시는 광역버스 특별 점검을 벌여 '휴게 시간 미준수' 업체에 1건당 180만원, 감회 운행 업체는 1회당 1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에 버스 업체 일부는 사업계획 변경을 통한 회전수를 줄이는 것을 인천시에 건의하고 있다.
/김명래기자 problema@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