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공사, 美 노선 보안강화 '늑장 대응'

  • 홍현기 기자
  • 발행일 2017-10-12
당초 "항공사가 해야할일" 뒷짐
27일 마감 앞두고 두 차례 회의
국토부, TSA에 적용유예 요구
내년 2여객터미널 재배치 필요

미국 교통안전청(TSA)의 미국 직항 노선 보안 강화로 인천국제공항에 취항한 항공사들이 대혼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9월14일자 1·3면 보도)와 관련해,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인천공항공사는 최근 인천공항 미주 취항 항공사들과 두 차례 회의를 갖고 시설 지원 등 미국행 항공기 보안 강화에 관한 대책을 논의했다고 11일 밝혔다. 공항공사는 항공사와 계속 협의를 진행해 보안 강화 조치가 적용되는 이달 27일 전까지 시설 개선 방안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TSA는 지난 6월 미주 항로가 있는 전 세계 항공사에 '비상보안지침(Emergency Amendment)'을 보냈다. 이 지침에는 10월27일부터 미국에 오는 전체 승객을 대상으로 보안 질의(Security Interview)를 진행하는 등 보안을 강화하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인천공항에 있는 12개 미주 취항 항공사는 당국에 대책 마련을 요구해왔다. 미국 노선 승객을 위한 인천공항 내 별도 구역 마련 등 관련 기관의 지원이 없이는 보안 강화 지침을 준수하는 게 불가능하다 보니 '반입 물품 제한' '취항 중단' 등의 제재를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

인천공항공사는 당초 "(보안 강화 조치는) 항공사에서 알아서 해야 할 일"이라고 했다가, 최근에야 '시설 지원' 등을 하기로 하고 항공사와 협의를 하고 있다. 처음에는 '시설 지원' 등을 할 수 없는 보안 부서가 국토교통부, 항공사 등과 협의를 하다 보니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게 공항공사 설명이다.

최근 이와 관련한 업무를 맡게 된 인천공항공사 여객서비스처 관계자는 "보안 관련 부서에서 협의하다가 시설 측면에서 할 사항이 있어 우리 부서에서 업무를 담당하게 됐다"며 "추석 연휴 전에도 항공사를 만나 요구사항 등을 들었고, 시간 부족으로 물리적 시설 설치 등이 어려운 상황이라 어떻게 하면 좋을지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계속해 항공사와 회의를 하면서 조치를 할 계획"이라고 했다.

한 항공사 관계자는 "시간만 흘려보내다가 뒤늦게 담당 부서가 정해져 아쉽다"고 했다.

국토부는 보안 강화 조치를 10여 일 남겨 놓은 상황인 점을 고려해 TSA와 계속 접촉하면서 적용 유예 등을 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미주 취항 항공사도 정식 유예 요청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 초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이 개장하면 대한항공과 델타항공 등 4개 항공사는 2터미널로 옮겨가고, 아시아나항공은 1터미널 서측에서 동측으로 이전하는 등 탑승구역이 전면 재배치되기 때문에 보안 지침 적용 유예 필요성이 높다.

TSA는 지난달 15일께 새로운 버전의 비상보안지침을 전 세계 항공사에 보냈는데, 여기에 지침 적용을 유예하는 방법이 언급됐다. 10월26일까지 보안지침을 적용하지 못하는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일주일 전(10월19일)에 추후 적용 계획서를 제출하라는 내용이 있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