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교통안전청(TSA)의 자국 직항 노선 보안 강화 조처로 인천국제공항에 취항한 항공사들이 대혼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9월14일자 1·3면 보도)와 관련해, 국토교통부가 인천국제공항공사, 항공사 등과 협의해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23일 밝혔다.
국토부는 오는 26일부터 각 항공사가 인천공항 등에서 미국으로 출국하는 승객을 대상으로 항공권 발권카운터(체크인 카운터)와 탑승구 앞에서 2차례에 걸쳐 보안질의(Security Interview)를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TSA는 지난 6월 미주 항로가 있는 전 세계 항공사에 '비상보안지침(Emergency Amendment)'을 보냈다. 이 지침에는 10월 26일부터 미국에 오는 전체 승객을 대상으로 보안질의를 진행하는 등 보안을 강화하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국토교통부와 인천공항공사는 TSA 보안지침을 준수하기 위해 미국행 항공권 발권카운터를 별도로 확보하기로 했다. 각 항공사는 미국행 승객을 대상으로 항공권 발권 과정에서 1차 보안질의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항공사는 항공기 탑승게이트 앞에서도 2차로 보안질의를 한다. 또 '선별검색대상자(Selectee)'와 무작위로 선별된 승객의 경우 항공기 탑승 전 추가 질의가 진행된다.
인천공항을 거치는 미국행 환승객의 경우 환승검색장에서 1차 보안질의를 하고, 인천공항 출발 승객과 동일하게 탑승게이트 앞에서 추가 보안질의를 한다. 국토교통부는 TSA 소속 전문교관을 초빙해 인천공항공사와 항공사의 항공보안 종사자를 상대로 보안검색기법 실무교육도 한다고 했다.
TSA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보안지침 적용 유예 요청에 아직 회신하지 않았다. 국토부는 "유예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전제로 준비하고 있다"며 "26일부터 실제 적용에 들어가더라도 혼선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미주 취항 항공사들은 국토부 등의 이번 지원대책으로는 TSA 보안지침을 이행하기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환승 승객에 대해 보안질의를 할 충분한 시설과 인력이 마련돼 있지 않다는 지적이다. 보안질의 선발 인력에 대한 교육도 TSA가 요구하는 수준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했다.
한 항공사 관계자는 "미국행 항공기가 많지 않은 외국항공사나 저비용항공사는 대비할 수 있어도, 미국행 승객의 70~80%를 점유하는 국적 항공사의 경우 현재 준비 상황으로는 보안지침 이행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유예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혼란을 겪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