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부터 판교제로시티에서 국내 최초 자율주행셔틀인 '제로셔틀(Zero Shuttle)'이 시범 운행될 예정된 가운데, 자율주행차가 미래의 교통수단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판교제로시티를 '자율주행실증 특별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29일 '자율주행차 도입과 교통이용환경 변화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인구감소·양극화 등으로 인한 교통서비스 소외지역 증가, 인적요인에 의한 교통사고, 부족한 주차 공간, 수송에너지소비 증가, 대기오염 등의 문제로 자율주행차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자율주행차가 도입되면 졸음운전에 의한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운전 피로도를 낮출 수 있고, 전기차로 제작돼 대기오염과 에너지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며 "아울러 도로를 보행과 녹지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자율차 파킹시스템으로 주차공간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자율주행차는 카셰어링과 같은 공유서비스와 연계해 이용자에게 통합교통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시했다.
통합교통서비스란 버스·택시·전철·승용차·자전거 등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필요한 교통수단을 서비스로 패키지화 해 유료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교통수단을 공유한다는 개념이 전제가 된다. 이미 스웨덴·핀란드 등 유럽에서 이같은 시스템이 태동되고 있다.
결국 자동차 역시 '소유'의 개념에서 '이동하기 위한 서비스'로 패러다임이 전활 될 것으로 예측했다.
빈미영 선임연구위원은 "자율주행차가 미래의 교통수단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국가주도의 자율주행 실증실험을 활성화 해 기술수준을 검증하고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며 "판교제로시티를 '자율주행실증 특별구역'으로 지정해, 운행과 관련한 규제를 발굴하고 이를 중앙정부가 바로 개혁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