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덕원~수원 복선전철 '정상궤도' 오른다

  • 김순기 기자
  • 발행일 2017-12-15

지역민 등 요구에 4개 역 추가돼
비용 분담 이견으로 3년째 '표류'

국토부-4개 지자체 50%씩 합의
정부 81억 편성 2019년 착공 가능


0909.jpg
인덕원 수원 복선전철 노선도. /경인일보DB
당초계획보다 추가된 4개 역을 건설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 분담 문제로 3년째 표류(8월 23일자 2면 보도) 중인 '인덕원~수원 복선전철' 사업이 정부와 해당 지자체 간 합의가 이뤄지면서 정상궤도에 올라서게 됐다.

더불어민주당 신창현(의왕·과천) 의원은 14일 "국토교통부와 4개 해당 지자체가 최근 역사 설치 비용을 50%씩 부담하는 방안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인덕원~수원 복선전철'사업이 내년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를 거쳐 2019년 말 착공이 가능해졌다"고 덧붙였다. 내년 정부 예산안에도 관련 사업비 81억원이 편성된 상태다.

경기도 서남부지역의 광역 교통기능을 확충하고 대규모 택지개발에 따른 교통체증을 해소하기 위해 추진된 '인덕원~수원 복선 전철' 사업은 총 길이 33.3㎞로 당초 2조4천587억원을 투입해 지난 2015년 착공, 오는 2023년 완공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역민과 정치인 등의 요구로 안양 호계사거리역·수원 교육원 삼거리역·용인 흥덕역·동탄 능동역이 추가되면서 사업비가 당초보다 3천983억원(16.2%)이 늘어났다.

 

호계사거리역 신설에 910억원, 교육원삼거리역 신설에 741억원, 흥덕역 신설에 1천580억원, 능동역 신설에 986억원 등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는 이에 따라 지난해 4월 KDI에 사업비 증액에 따른 설계변경 적정성 검토를 의뢰했다.

KDI는 4개 역 신설이 부적정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국토부는 이에 역사 신설비용의 50%를 지자체가 부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기재부는 '지자체 100% 분담'을 전제로 역사 신설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았고 안양·수원·용인·화성시 등은 30%만 분담하겠다고 나서면서 '인덕원~수원 복선전철' 사업이 표류해왔다.

신창현 의원실 관계자는 "지난달 기재부가 4개역 신설에 대한 타당성 검사를 다시 한 결과 3개 역이 양호한 것으로 나온 만큼 분담금 조정이 50%선에서 최종 결정될 것"이라며 "2019년에 착공한다는 게 국토부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김순기기자 ksg201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