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을 둘러싼 지역 갈등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이미 일반도로로 바뀌어 제한속도 시속 60~80㎞ 지정과 10개의 진출입로 개설공사를 앞두고 있는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이 지역 주민들의 우려 속에 갈등이 커지고 있다. /경인일보 DB |
10.45㎞구간 시속 60~80㎞ 조정·10개 진출입로 개설공사
중구 "서울 접근성 떨어져… 사업 전면 재검토" 1인 시위
수혜지역 남구도 "애초 방향과 달라져" 주민 우려 목소리인천시가 추진 중인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을 둘러싼 지역 갈등이 커지고 있다.
사업대상지인 경인고속도로 인천기점~서인천IC 구간(10.45㎞)은 지난해 12월 이미 일반도로로 바뀌어 제한속도가 시속 60~80㎞로 줄었고, 10개의 진출입로 개설공사를 앞두고 있다.
인천 중구의회 의원들은 지난 8일부터 인천시청 앞에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요구하는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중구의회는 최근 임시회를 열어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피해 지역 대안 마련 촉구 결의안'을 채택하기도 했다. 김철홍 중구의회 의장은 "경인고속도로는 항만과 주요 관광지가 있는 중구로 향하는 도로인데, 일반화 사업으로 서울~중구 접근성이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와 도시재생 사업대상지는 남구 용현동부터 서구 가좌동까지인데, 중구 지역사회에서는 "혜택도 없고 손해만 본다"고 인식하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해 개통한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인천~김포 구간과 제2경인고속도로가 있어 서울~인천 중구 접근성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수혜지역인 남구 쪽에서도 "애초 생각했던 방향과 다르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진출입로가 10개가 생기고, 제한속도까지 줄면서 서울로 통하는 도로망이 오히려 나빠져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는 일부 주민들의 우려가 있다.
"바뀐 게 하나 없는데 제한속도만 줄었다"며 인천시가 사업을 성급하게 추진한 게 아니냐는 불만도 나온다. 제2경인고속도로 문학IC에서 경인고속도로를 거쳐 검단신도시를 잇는 '지하 고속화도로 민간투자사업'은 지난해 말까지로 예상했던 KDI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의 적격성 검토가 늦어지고 있다.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진행과 대체도로 건설사업 시기가 어긋나면 불만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
인천시 관계자는 "구도심 도시재생사업이 중구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기 때문에 남구와 서구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서는 일반화 사업이 중요하다"며 "이달 중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범시민참여위원회를 구성해 사업대상지뿐 아니라 다양한 지역과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박경호·윤설아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