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청 영종·청라와 후보신청
특위, 송도 11공구 주목 불구
"5년이내 조성 어려워" 탈락
상반기 '실증단지' 선정 도전
인천 송도가 스마트시티(Smart City) 국가 시범도시로 선정되지 못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인천경제자유구역이 스마트시티 R&D 실증단지에 뽑힐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는 계획이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29일 장병규 위원장 주재로 제4차 회의를 열어 '스마트시티 추진전략'을 논의, 확정했다.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로는 세종시 연동면 5-1 생활권(274만㎡), 부산시 강서구 에코델타시티(219만㎡) 등 2곳이 선정됐다. 정부는 도시 설계부터 시공까지의 과정에 스마트시티 주요 기술을 적용하는 등 국가 시범도시를 혁신성장 선도사업과 4차 산업혁명 관련 신기술의 테스트베드로 활용할 계획이다.
5년 이내에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시티로 조성하겠다는 것이 정부 목표다.
인천 송도는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후보에 올랐으나 선정되지 못했다. 인천경제청은 송도·영종·청라 등 인천경제자유구역 일부를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로 선정해 줄 것을 희망해왔다.
스마트시티 특별위원회는 이들 3곳 가운데 송도를 주목했고, 특히 '백지 상태의 부지에 세계적 수준의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를 조성한다'는 취지에 맞게 송도 11공구를 후보지로 봤다.
하지만 송도 11공구는 5년 내에 도시 조성이 어렵다는 점 때문에 탈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계 부처 한 관계자는 "(송도 11공구는) 공유수면 매립을 해야 하고, 면적이 넓어 중장기로 가야 한다는 의견이 (스마트시티 특별위원회에서) 나온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인천경제청은 인천경제자유구역이 스마트시티 R&D 실증단지에 선정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등은 이르면 올 상반기에 실증단지 공모(지자체 제안)에 나설 예정이다. 실증단지는 기존 도시 또는 개발 단계에 있는 도시를 대상으로 한다. 스마트시티 연구·가이드라인 제시, 기존 도시 문제점 해소, 새로운 기술 개발·실증 등의 구실을 한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은 개발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실증단지에 적합하다"며 "인천에 특화한 스마트시티 모델을 찾아 실증단지 공모에 참여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해, 인천경제청은 30일 '인천경제자유구역 산업특화형 스마트시티 모델 연구용역 착수 보고회'를 한다. 연구용역 과업에는 '국가 스마트시티 R&D 사업 제안 방향 도출 및 공모제안서 작성'이 포함됐다.
정부는 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맞는 자체적인 스마트시티 사업을 발굴하도록 지원하고, 도시재생 뉴딜 지역에도 스마트시티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