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섬 주민들의 일일생활권 확보를 위해 연안여객선 준공영제 시범사업에 서해 5도 항로와 이작도 항로를 포함해달라고 해양수산부에 요구하기로 했다. 해수부도 연안여객선 준공영제 확대를 올해 연안해운 분야 핵심 정책으로 정하고, 본격적인 추진에 나섰다.
서해 5도 주민들과 이작도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육지와의 일일생활권이 불가능하다. 섬과 육지를 오가는 유일한 교통수단은 여객선인데, 백령도를 뺀 나머지 섬에서는 아침에 출발하는 여객선이 없기 때문이다.
연평도 주민들은 오후 3시에서 3시 30분에 출발하는 여객선을 타고 인천항에 도착하면 오후 5~6시가 되는 탓에 다음 날 볼 일을 보고 그 다음 날 아침 인천항에서 출발하는 배를 타고 연평도로 돌아와야 했다. 육지에서 일을 보려면 2박 3일이 걸리는 셈이다.
인천시는 서해 5도와 이작도 주민들이 일일생활권을 누릴 수 있도록 여객선 준공영제 시범사업에 이들 항로를 우선 선정해달라고 건의할 방침이다. 해수부도 30일 열린 '2018년 연안해운 정책설명회'에서 기존 낙도 보조항로에서만 운영되던 준공영제를 일일생활권이 확보되지 않은 항로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여객선 준공영제는 일반 시내버스에 적용하고 있는 준공영제와 마찬가지로 정부가 매년 일정액의 예산을 선사에 지원해 값싸고 안정적으로 배를 운항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그동안 해수부는 섬 주민들의 교통권을 위해 이용객이 적어 여객선이 없는 낙도 보조항로에 대해서만 예산을 지원해왔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섬 주민들이 육지와의 일일생활권을 누릴 수 있도록 준공영제 대상 항로를 늘려 가겠다는 것이 해수부의 방침이다.
특히 해수부는 이날 설명회에서 "거리가 멀고 긴급한 수송 요구가 있는 접경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서해 5도 항로가 준공영제 시범사업에 선정될 수 있을 것으로 인천시는 기대하고 있다.
해수부는 오는 3월 말 연안 도서가 있는 지자체와 연안 여객 선사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10개 항로를 선정해 이르면 올 하반기부터 여객선 준공영제 시범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여객선 준공영제가 운용되면 인천과 섬을 오가는 여객선 항차 수가 늘어나 섬 주민이 일일생활권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며 "해당 항로 운영 선사들과 협의를 진행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