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덕원~수원 복선전철 다시 속도낸다

용인시, '흥덕 연장구간·역사 신설 비용' 전액부담 정부 요구 수용
  • 박승용 기자
  • 발행일 2018-02-13

0909.jpg
인덕원 수원 복선전철 노선도. /경인일보DB
정부가 타당성 부족 등을 이유로 인덕원~수원 복선전철의 '흥덕 연장 구간과 역사 신설 비용' 등을 지자체가 부담하라고 요구한 것에 대해 용인시가 이를 수용해 사업비 전액을 부담키로 했다.

이에 따라 역사 추가 신설 등을 둘러싼 정부와 수원·용인·안양시 간 '비용 분담 대립'이 사실상 해소돼 '인덕원~수원 복선전철' 사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12일 용인시에 따르면 최근 용인시의회 임시회에 인덕원~수원 복선전철(흥덕역) 사업비 부담 동의안을 제출했다.

 

그동안 용인시는 흥덕역 설치를 적극 추진해왔지만 정부는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반대해오다 최근 용인시가 사업비 전액을 부담하라는 의견을 보내왔다.

정부 평가에서 흥덕역의 경우 비용대비 편익분석(B/C)이 기준치 1 이하로 평가됐다.

이에 시는 흥덕 미경유로 인한 민원 발생을 최소화하고 국가철도를 유치해 주민들의 교통 불편 해소와 생활권역 확대를 위해 용인구간 연장에 필요한 사업비 전액을 부담하겠다는 입장이다.

시가 부담해야 할 사업비는 관내 사업구간 2.192㎞ 연장과 역사건설 비용 등 모두 1천564억원으로 이는 전체 사업비 2조9천676억원의 5.2%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수년 동안 흥덕역사 건립을 위해 용인시뿐 아니라 정치권, 시민까지 발 벗고 나서 기본계획에 포함될 수 있도록 했다"며 "흥덕역을 설치할 경우 용인 발전에 필요한 철도교통망을 확대할 뿐 아니라 교통복지·삶의 질 향상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용인/박승용기자 ps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