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업체, 이용객 6.9% 감소
통합환승손실보전금 10%↑
최저임금 인상분 지원 검토
장기적 준공영제 시행 논의
인천시가 시민들의 안전까지 위협할 수 있는 광역버스 운송업체의 경영난(3월 7일자 23면 보도)에 대해 재정지원, 준공영제 논의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인천 광역버스는 그동안 서울7호선, 수인선, 인천 1·2호선 개통 등으로 승객 수요가 감소하면서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었다.
6개 광역버스 업체 이용객 수는 지난해 1천400만 명으로 전년도 1천500만명보다 6.9%(약 100만명) 줄었다. 올해 최저임금이 오르면서 운송업체들은 재정적자에 시달리는 와중에 인건비 부담까지 떠안게 됐다.
경험이 적은 기사들이 광역버스를 운영하게 되면서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안전까지 위협받는 상황이 됐다.
인천시는 그동안 광역버스 운송업체의 경영난을 인지하고 있으면서 재정지원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하지만 이번 기회에 시민들의 광역교통서비스 개선과 운송업체의 건전한 재정 운영을 위한 최선책을 찾아내겠다는 입장이다.
단기적으로 올해 수도권 통합환승손실보전금 지원규모를 지난해보다 10%(연 16억원) 확대해 지급하고, 6월 나오는 표준운송원가 검증용역 결과를 기반으로 광역버스 업체들의 손실규모를 파악한 후 최저임금 인상분에 대한 재정지원을 검토할 예정이다.
최저임금 인상분에 대한 재정지원은 현재 광역버스 운송업체들이 가장 필요하다고 말하는 사안이다. 인천시는 장기적으로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에 대해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지출되는 예산이 큰 지원정책인 만큼 시의회, 운송업체, 시민사회단체 등과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깊이 있게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역버스 운수업체 관계자는 "최저임금 인상분에 대한 재정 지원만 이뤄지면 업체에서 한숨 돌릴 수 있다. 인건비 상승으로 발생하는 적자가 누적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능한 한 빨리, 긍정적으로 검토됐으면 한다"면서 "준공영제 시행 논의를 시작하는 것 자체에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태양기자 ks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