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통근불편 해소를 위해 시급한 광역 교통청 설립'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 지역 간 하루 통행량은 851만9천대이며 이 중 대중교통 통행량은 48.4% 수준이다.
아울러 수도권 미세먼지 비상 저감조치인 차량 2부제의 민간 확대 시행이 실제로 추진되면 기존 승용차 이용자의 절반인 최대 175만 통행이 대중교통으로 전환돼, 그 비중이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하지만 수도권 광역단체들은 광역버스 확대 등의 문제로 갈등을 빚으며, 정책 통일에 혼선을 빚고 있다. 이를 총괄할 관리기구가 없다는 것도 문제다.
조응래 선임연구위원은 "구체적인 대중교통 수송대책이 마련돼야 차량 2부제의 민간 확대 시행이 가능하다"며 "중앙정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관계기관 간 광역교통 전반에 대한 정책협의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광역교통청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향후 광역교통청에서 추진해야할 정책으로는 ▲수도권 광역버스를 M버스로 전환하여 좌석제 실시 ▲광역버스의 혼잡률 완화를 위한 2층 버스 도입 추진 ▲과도한 광역버스 수요를 광역철도로 전환 ▲광역버스 환승정류장 시설 개선 및 환승센터 건설을 통해 환승불편 해소 ▲버스 통행시간 단축을 위한 간선급행버스(BRT) 확충 및 철도 급행화 사업 등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