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버스 준공영제 강행 '졸속' 논란

필수 시스템 미흡 지적에도 내달 시행 예고… "선거의식" 비판
  • 강기정 기자
  • 발행일 2018-03-19
경기도가 다음 달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을 예고하자 '졸속' 논란이 일고 있다.

운영에 필수적인 시스템을 다 갖추지도 못한 채 '개문발차'식으로 추진한다는 지적(2월27일자 2면 보도)에도 이를 강행하자 지방선거를 의식한 것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도는 지난 16일 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에 14개 시·군, 59개 노선, 630대의 광역버스에 대해 다음 달 중 준공영제를 도입하겠다고 보고했다. 오는 27일 시·군, 버스업체 등과 실무협의회를 열어 구체적인 시행 시기를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아직 운영에 필요한 시스템이 다 갖춰지지 않은 점에 대해선 "종합적인 평가 작업은 시스템 구축 용역이 끝나는 연말에 할 수 있지만, 운영에 당장 필요한 비용 정산은 다음 달부터 먼저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큰 문제는 없다"는 입장이다.

계획을 보고받은 도의회에선 '졸속' 시행 비판이 제기됐다. 도의회 장현국(민·수원7) 건설교통위원장은 "한번 시작하면 막대한 돈이 들어가는 사업인 만큼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신중하게, 다 함께 시작하는 게 맞다. 오히려 선거 이후 다음 도지사, 시장·군수가 결정하게끔 하반기로 넘기는 게 좋을 것 같은데 도에서 이렇게 급하게 하는 점은 지방선거를 의식하는 것"이라며 "밀어붙이기식으로 하면 도의회에서도 반대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더불어민주당 도지사 후보군인 이재명 전 성남시장과 전해철 의원 등도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는 상태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