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독일에서 운행 중인 트램. /경인일보DB
사업성 부족 이유 민자추진 불발
교통대책·특화상가 조성 후폭풍
위례신도시에 신교통 수단으로 도입하려 했던 노면전차(트램)의 민간투자사업이 사업성 부족을 이유로 2일 무산됐다.
위례신도시의 경우 트램사업이 광역교통개선대책에 포함돼 있고 트램도입을 전제로 신도시 중심부에 특화 상가도 조성돼 만만치 않은 후폭풍이 예상된다.
아울러 경기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된 10개지역 트램 신설 계획에도 악영향을 줄 전망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달 말 정부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는 위례 트램 민자사업의 비용 대비 편익비율(B/C)이 미흡하다는 최종 결론을 내렸다.
이 사업은 위례신도시 중심부를 관통하며 지하철 마천역∼복정·우남역 5.44㎞ 구간을 잇는 트램 노선을 건설하는 내용으로, 기존 계획이 나온 지 이미 10년이 지났다.
국토부는 10년 전인 2008년 3월 위례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을 세우면서 신교통 수단인 트램 도입 방침을 확정했다. 총 사업비 1천800억원 중 LH가 60%인 1천80억원을 부담하고 나머지 40%인 720억원은 민간 사업자가 맡아 2021년 완공한다는 목표가 제시됐고 두산건설이 2015년 이런 내용으로 민자사업 계획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일찍부터 민자사업이 경제성을 내기 어렵다는 부정적인 전망이 제기됐다.
위례신도시는 트램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기에 트램이 무산되면 부작용이 만만찮다. 위례신도시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성남시는 국가 지원으로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성남시 관계자는 "위례신도시는 성남시와 하남시, 서울시 등 3개 지방정부가 자치권을 갖고 있으므로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중앙정부의 책무(적극적 의미의 보충성의 원칙)인 국가의 지원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토부 관계자도 "트램 사업을 중단할 수는 없는 문제"라며 "주무 부처인 서울시와 위례선 트램을 건설하기 위한 해법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김규식·김태성기자 siggi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