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는 10월 29일 1단계 시설 개장을 앞둔 터키 이스탄불 신공항 건설 현장. 각 건축물이 그 형태를 잡아가고 있다. 4개 단계로 건설·확장이 추진되는 이스탄불 신공항은 2026년 연간 2억 명의 여객을 처리하는 세계 최대 공항이 된다. /공항사진기자단 제공 |
차로 20분넘게 달리니 막바지공정 한창인 메인 여객터미널 위용
亞-유럽잇는 허브 이점… 10월 29일 1단계 개장 연 9천만명 수용 세계 최대 국제공항이 될 터키 이스탄불 신공항이 오는 10월 29일 1단계 시설 개장을 앞두고 있다. 허브 공항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세계 공항들의 확장 경쟁이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지난 3일 오전(현지시간) 터키 이스탄불 도심에서 40분 정도 차를 타고 달리자 멀리 이스탄불 신공항 건설 현장의 모습이 나타났다.
이스탄불 신공항 건설은 부지 면적 7천600만㎡ 규모로 4개 단계로 나눠 추진되고 있다. 여의도(2.9㎢) 27개 크기다. 부지 면적으로 봤을 때 세계 최대 규모라고 신공항 건설·운영을 담당하는 IGA사는 설명했다.
 |
이스탄불 신공항 건설현장. /공항사진기자단 제공 |
취재진을 실은 버스가 건설 현장 옆 산등성이에 올랐는데, 신공항 부지는 끝이 보이지 않았다.
드넓은 땅 곳곳에는 기중기 수십 대가 붙어 있는 건물 형태의 골조가 세워져 있었고, 대지 정리 작업을 하는 굴착기 수십 대가 주변을 분주하게 오갔다.
미니 밴으로 갈아타고 20분을 넘게 달려서야 마무리 공정이 진행 중인 메인 여객터미널에 도착할 수 있었다.
10월 29일 여객터미널과 2개 활주로 등으로 구성된 1단계 시설이 개장을 앞두고 있는데, 연간 여객 9천만명 수용 능력을 자랑한다.
제1·2 여객터미널, 탑승동, 3개 활주로를 보유한 인천국제공항의 연간 여객 처리 능력이 7천200만 명인데, 이스탄불 신공항은 개장과 동시에 인천공항을 뛰어넘는 여객 처리 능력을 갖추게 되는 셈이다.
이스탄불 신공항 1단계 시설 건설까지 주어진 시간은 불과 42개월이었다. 2013년 5월 3일 입찰을 통해 터키 건설업체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IGA가 선정됐고, 정식 계약 등을 거쳐 2015년 5월 1일 공사가 시작됐다. → 표 참조
이스탄불 신공항 개발을 놓고 독일 프랑크푸르트 등 유럽 허브 공항이 심각한 위협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
이스탄불은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지리적 이점이 있는 데다 시설 확장에 속도를 내면서 세계 허브공항 경쟁에서 앞서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스탄불 신공항은 당초 2026년 4단계 사업 완료로 연간 여객 처리 능력 1억5천만명을 확보하는 게 목표였는데, 이를 2억명 수준까지 늘렸다. 세계 최대 공항 탄생을 예고한 것이다.
이곳에는 국적항공사인 터키항공의 항공정비(MRO) 단지와 항만에서 곧바로 송유관으로 연결되는 급유 단지(fuel farm), 물류단지(Cargo City) 등을 조성해 항공산업 집적화도 추진한다.
IGA사의 카드리 삼순루(Kadri SAMSUNLU) 최고경영자는 "이스탄불 신공항은 기존 아타투르크(Ataturk) 국제공항보다도 6.5배 크다"며 "1단계 건설로 항공정비(MRO) 단지, 케이터링시설, 터키항공 본부 등이 들어서게 된다"고 설명했다.
세계 허브 공항 자리를 놓고 시설 확장에 나선 곳은 이스탄불 신공항뿐만이 아니다. 아시아에서도 홍콩공항(2023년 예상 연간 여객 처리 능력 1억 1천만 명), 싱가포르 창이공항(2025년 1억3천500만 명), 중국 푸둥(2025년 1억6천만명) 등이 공항시설을 늘려가고 있다.
 |
신공항 메인터미널 내부. /공항사진기자단 제공 |
인천공항도 제2여객터미널을 확장하고 제4활주로를 짓는 4단계 사업을 통해 2023년까지 연간 여객 처리 능력을 1억명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공항의 개발 효율성이나 속도감이 경쟁 공항에 비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인천공항은 3단계 사업으로 제2터미널을 지어 놓고, 4단계 사업으로 이를 확장하고 있다. 한번에 제2터미널 전체 시설을 짓는 것이 바람직했다는 게 항공업계의 이야기다.
인천공항은 이스탄불 신공항처럼 공항 주변에 MRO 단지를 마련해 놓았다. 하지만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논리로 정부가 지원하는 경상남도 사천에 밀려 관련 업체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