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뱃길 기능재정립 공론화委… 인천몫 3명뿐 "지역 소외" 목청

  • 윤설아 기자
  • 발행일 2018-10-16
환경부, 위원 15명 위촉·1차 회의
시민연대 "현장 몰이해… 보이콧"

환경부가 '경인아라뱃길 기능재정립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했다. 그러나 공론화위원회 위원 구성에 인천 사람이 적어 인천의 이해관계를 담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환경부는 10일 서울 한강홍수통제소에서 경인아라뱃길 기능재정립 공론화위원회 위원을 위촉하고 제1차 회의를 진행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15명의 위원들이 각 분야별로 위촉됐으며 아라뱃길의 현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앞으로의 운영 계획을 논의했다.

공론화위원회 구성은 올해 3월 국토교통부 관행혁신위원회의 1차 개선 권고안에 따른 후속 조치다. 당시 국토부는 아라뱃길 기능 재정립을 위해 전문가와 시민대표, 지자체 등이 함께 참여하는 공론화 기구 구성을 권고했다.

그러나 위촉된 위원 중 인천 몫은 3명이다. 환경부는 물·환경·생태 분야 5명, 거버넌스 분야 4명, 물류 분야 3명, 관광·레저 분야 3명 등 15명을 위원으로 위촉했다.

인천에서는 조강희 인천환경운동연합 공동 대표, 물류 분야에 안승범 인천대학교 교수, 관광·레저 분야에 최복수 인하공업전문대 교수가 위촉됐다. 나머지 위원은 국토환경연구소, 문화연대, 환경운동연합, 대학교 소속이다.

장정구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 운영위원장은 "운하를 만들면서 인천지역사회를 찬반 갈등의 폭풍 속으로 몰아넣더니 이제는 기능재정립을 이유로 똑같은 시행착오를 되풀이하고 있다"며 "지방분권 확대를 이야기하는 시대에 지역을 무시하고 현장에 대한 몰이해를 계속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이어 "인천 시민사회단체연대는 공론화위원회를 거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올해 개통 7년 차를 맞는 경인아라뱃길은 해운물류기능을 상실했다. 작년 12월 말 기준 아라뱃길 물동량 실적은 378만7천t으로 계획 대비 8.7% 수준에 머물렀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