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 인프라 부족 등 수도권이라는 이름으로 역차별을 받는 경기북부의 사례가 정부 연구 자료를 통해 또 한 번 확인됐다.
출퇴근 등 주변 지역을 오가는 경기북부권역의 '생활교통비용'이 경기남부권역보다 2배 가량 더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가 21일 '국토정책 브리프-빅데이터로 살펴본 우리 동네 생활교통비용' 자료를 공개했다. 이 빅데이터는 경기도 560개 읍면동 시민들이 이용하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빅데이터를 분석해 만든 개념이다.
거주지에서 왕래가 잦은 인근 지역을 다니는 총비용을 입체적인 계산법을 통해 생활교통비용으로 추계해 냈다.
자료에 따르면 경기 남부권역의 생활교통비용은 월 20만원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기 북부권역은 그 두 배인 월 40만원으로 산출됐다.
두 조건 모두 서울과 인접해 있는 도시가 대상이다. 남북부를 가리지 않은 경기 외곽 권역은 훨씬 높은 월 70만원이었다.
화성시의 경우 동일 시·군·구 내에서 읍면동별 생활교통비용 차이가 큰 지역으로 꼽혔다.
도농복합단지인 화성시 '동'지역의 생활교통비용은 29만원이지만 향남읍과 남양읍은 각각 52만원, 58만원으로 '읍'소재 지역의 생활교통비용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월 소득에서 생활교통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9%였다. 1기 신도시인 분당구(4.6%), 군포·안양 동안구(4.9%), 용인 수지구(5.2%) 등에 비해 2기 신도시인 남양주(10.0%)·화성(10.6%)·광주(12.2%) 등은 10%대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원은 이번 연구결과와 관련 "지역별 생활교통 격차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