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투자사업 '높은 요금' 우려
역·배차 간격 길어 접근성 문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성공을 위해 정기 요금 할인권을 도입하고, 환승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일 경기연구원은 'GTX 2라운드의 과제와 해법' 보고서에서 "GTX는 높은 요금과 배차 간격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GTX는 사업추진 방식이 재정 사업이 아닌 민간투자사업으로 전환되면서 요금이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민간투자사업은 시민들이 지불하는 요금으로 투자비를 회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GTX는 일반 광역철도에 비해 2배 이상의 요금이 책정될 가능성이 크다.
이뿐 아니라 접근성에 대한 문제도 불 보듯 뻔한 상황이다. 서울도시철도의 역 간격은 평균 1.1㎞에 불과한데 GTX의 역 간격은 이보다 훨씬 긴 7.2㎞다.
더구나 지하 40m 깊이에 GTX 역이 들어서기 때문에 승객들이 역에서 승강장까지 오르내리는 데만 각각 5분씩, 모두 10분의 추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GTX는 SRT 등 다른 노선과 철로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계획되면서 배차 간격도 길어졌다. 출퇴근 시간대 서울도시철도의 배차간격은 평균 3분 4초지만 GTX의 배차 간격은 6분 이상으로 예측됐다.
경기연구원 관계자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GTX 역을 중심으로 광역환승센터를 구축하고, 승용차 환승객을 위한 주차장 확보가 필요하다"면서 "이 밖에 정기 요금 할인권을 도입하고, 고속엘리베이터를 설치해 역내 이동 편의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