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조성 전 GTX 등 광역대중교통 추진 탄력받나

-수원컨벤션센터서 '2019 새로운 경기 철도정책 토론회' 열려
  • 이상훈 기자
  • 입력 2019-12-19 16:45:43
2019121902000011100058511.jpg
'2019 새로운 경기 철도정책 토론회' 참석자들이 열띤 논의를 펼치고 있다./경기도 제공

"신도시 조성 전, 선계획 후 개발 원칙에 따라 종합적인 광역교통대책이 마련돼야 합니다."

홍지선 경기도 철도항만물류국장은 "사업을 추진 중인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를 비롯해 철도와 슈퍼 BRT(간선급행버스체계)의 도입이 신도시와 수도권 교통체증을 획기적으로 해결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19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GTX 등 광역대중교통 추진방안을 모색하는 '2019 새로운 경기 철도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경기도가 주최하고 (사)한국철도건설협회가 주관한 이 날 행사에는 도 및 시군 관계 공무원, 학계, 전문가, 철도 관련 시공사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토론회에선 광역대중교통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3기 신도시에 적합한 정책이 무엇인지에 대해 열띤 논의를 벌였다.

남서울대 김황배 교수가 주제 발표를 통해 "3기 신도시의 성공을 위해서는 광역교통대책의 일괄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도입, 서울시-신도시 연결구간은 광역교통사업 분리 시행 등이 이뤄져야 한다"며 "특히 광역교통개선대책에 대한 정부 재정분담의 명문화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도는 이 날 제시된 의견을 수렴해 3기 신도시 관련 지자체와 협의를 통해 철도정책에 반영하고, 필요하면 중앙부처와 적극 건의·협의할 계획이다.

손임성 경기도 도시정책관은 "경기도는 3기 신도시를 주거와 일자리가 함께하는 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며 또한 개발이익 환원, 후분양제 등 서민 중심 경기도형 주거정책도 접목할 것"이라며 "광역교통대책도 지역 맞춤형 정책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상훈기자 sh2018@biz-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