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이 활용할 공동브랜드 도입 방안을 검토한다. 인천에서 추진되는 가로주택 정비사업 등 소규모 정비사업에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이 공동브랜드를 활용해 참여하면 수주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다. 하지만 이번 공동브랜드가 소규모 정비사업을 추진하는 조합들로부터 얼마나 관심을 끌 수 있을지 미지수라는 우려가 나온다.
26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역 건설업계 활성화를 위한 공동브랜드 도입 방안이 검토될 예정이다.
인천 지역 화장품 공동브랜드 '어울'과 비슷한 개념의 공동브랜드를 지역 건설업계에도 적용해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의 사업 수주를 지원하겠다는 취지다.
인천시는 이를 위해 대한건설협회 등 관련 단체와 공동브랜드 도입 방안을 협의하고, 브랜드 도입 시 정비사업 조합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칠 계획이다.
인천시는 건설업체 공동브랜드 도입 방안 검토를 위한 용역비 1억원도 확보한 상태다.
소규모 정비사업 수주 도움 기대
조합들 얼마나 관심끌지 미지수
법·제도·운영체계 등 논의 필요
하지만 지역 건설업체 공동브랜드의 실효성에 대해 신중히 살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00~200가구 규모의 소규모 정비사업이라도 경우에 따라선 유명 1군 건설사들도 참여해 수주 경쟁에 나서기도 하는 상황에서, 지역 건설업체 공동브랜드가 정비사업을 추진하는 조합들의 관심을 받기 쉽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지역 건설업체 공동브랜드가 정비사업 추진 조합 등의 관심을 받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별도의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법도 모색할 수 있지만, 법·제도적 논의가 더 필요하다.
공동브랜드를 만든다고 하더라도 브랜드 운영체계는 어떻게 할지, 브랜드를 활용할 수 있는 지역 건설업체를 어떻게 선별할 것인지, 하자 발생 시 책임 소재는 어떻게 정리할지 등 미리 정리해야 할 게 많다는 평가다.
인천시 관계자는 "지역 건설업체 공동브랜드의 필요성과 타당성, 도입 시 장·단점, 가치 등을 면밀히 살펴 도입 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