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집무실·국회의사당 이전
평택·안성·용인 등 경제 효과 기대
정부-지자체 유기적 소통 병행돼야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인 임기 내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의사당의 세종시 이전이 새정부 출범 이후 주목되며 경기 남부권 지자체들의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단순한 수도 기능의 분산을 넘어 생활권·경제권 재편 가능성까지 제기되며 평택·안성·용인 처인구 등 세종시와 1시간 생활권 내 주요 도시들은 기회를 엿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기대만큼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신중론도 나온다.
9일 평택시 세교동 평택역 인근 부동산에는 기대감에 부푼 공인중개사들의 표정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행정수도 이전 논의가 처음 나왔던 노무현 정부 당시부터 이곳에서 ‘세종’ 이라는 단어는 호재의 상징이다.
한 공인중개사는 “평택지제역은 서울까지도 1시간이고 세종도 1시간 거리”라며 “특히 평택역과 평택지제역을 중심으로 인근에 고덕신도시도 조성됐고 인프라가 계속 발전하는 지역이라 찾는 사람도 많아질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세종시와 철도로 이어진 평택뿐 아니라 도로가 이어질 예정인 용인시와 안성시 역시 새 정부의 세종 이전 계획이 불러올 경제적 효과를 기대 중이다.
먼저 안성시는 지난 1월 개통된 세종포천고속도로 안성~구리 구간에 전국 최초로 최고속도 120㎞/h 구간을 신설하며 서울까지 1시간 생활권의 토대를 닦았다. 여기에 오는 2026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하는 세종~안성 구간까지 개통되면 안성시는 확실한 교통의 요충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된다.
용인시 역시 세종포천고속도로의 유력한 수혜지다. 국내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를 유치하며 부동산 투자 자본을 유치 중인 용인 처인구는 공공기관 및 부속기관 등의 세종시 이전으로 또 다시 몸값을 높일 것이라는 게 부동산 업계의 관측이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연고가 있는 사람들은 경기 남부 이하로는 생활권을 쉽게 이동하기 힘든 심리가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볼 때 GTX, 세종포천고속도로와 같은 교통 인프라가 경기남부 지역을 평균 출퇴근 시간인 ‘1시간 생활권’으로 만들며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과잉 낙관은 금물이라는 시각 역시 존재한다. 임재만 세종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행정수도가 세종으로 이전해도 여전히 경제의 중심지는 서울이라 부동산 시장에 크게 영향을 받진 않을 것”이라며 “단기적인 기대 심리로 이목이 끌릴 순 있지만 경기 남부지역은 여러 개발 수요 등 복합적인 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세종 이전에 큰 반사이익을 누린다고 보긴 힘들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경기 남부가 이 기회를 ‘진짜 수혜’로 연결하려면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유기적 소통과 교통 인프라 조기 확보, 교육·문화 투자가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 원장은 “지자체장들과 도지사가 소속 정당을 가리지 말고 교통 인프라 확충을 최우선으로 삼아야 한다”며 “경기 남부는 교육, 문화 역시 서울 수준으로 높게 끌어올릴 잠재력도 충분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