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 급등·미분양·채무 부담에
등록말소 업체 2년 전 比 2배 급등
시설물유지관리업 폐지 경쟁 여파도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인천지역 종합건설업체들의 위기가 가속화하고 있다. 급등한 공사비에 부동산 미분양, 채무부담 등 악재가 겹치며 사업을 포기하는 업체가 늘고 있다.
23일 대한건설협회 인천시회에 따르면 지난해 등록말소된 지역 건설 업체는 71개사로 지난 2023년(27개사)보다 2배 이상 급증했다. 등록말소는 자진 폐업해 면허를 반납하거나 면허 등록 기준을 미달한 경우다. 현행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종합건설업 등록기준을 맞추려면 5인 이상의 기술자, 법인 기준 3억5천만원 이상의 자본금을 상시 보유해야 한다.
폐업 신고 건수 역시 늘고 있다. 건설산업지식정보 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전국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19.4% 증가한 총 160건으로 집계됐다. 이중 인천은 13건으로, 전국에서 경기(37건) 다음으로 폐업한 업체들이 많았다.
지역의 중소 종합건설업체들은 부지를 선매입한 후 오피스텔·상가 등을 건설하고 이를 분양해 수익을 내는 방식으로 사업을 이어간다. 하지만 공사비 급등과 미분양 리스크에 더해 신규 사업을 위해 매입한 토지에 대한 대출이자 부담은 지속되는 상황에서 부동산 파이낸싱(PF) 대출 규제 등으로 자금 조달마저 어려워지는 ‘삼중고’를 겪고 있다고 업계는 입을 모았다.
인천의 한 종합건설업 관계자는 “지금 지은 건물이 분양이 안 돼 차기 사업에 차질이 생기고,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어 결국 부도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인천의 경우 제조업이 침체되며 시설투자가 줄어 공장을 짓거나 증설하려는 곳이 없다. 이 역시 종합건설업체가 어려워지는 요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부의 건설업종 개편으로 시설물유지관리업이 폐지되면서 해당 업종에 있던 업체들의 대다수가 종합건설업으로 업종전환해 내부 경쟁이 치열해진 것도 수익성 악화의 원인으로 꼽힌다.
인천에서는 지난해 시설물유지관리업체 196개사 중 162개사(82.65%)가 종합건설업으로 전환했다. 인천시 등 관급 공사를 수주하려는 종합건설업체의 경쟁률이 증가했다는 뜻이다.
대한건설협회 인천시회 관계자는 “매년 인천 지역 내에서 발주되는 공사의 수는 한정돼 있는데, 수주를 하려는 업체는 160여개가 늘었으니 경쟁률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회원사들을 만나면 다들 ‘힘들다’가 아닌 ‘죽겠다’고 하소연한다. 그만큼 업계의 상황은 심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