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지난해 9월 리턴(환매)을 받았던 송도 6·8공구 내 공동주택·상업용지 재매각이 유찰됐다. 공동주택용지 세대 수를 1천200세대 이상 늘리는 등 사업성을 높였는데도 토지 매각이 불발되면서 시가 돈을 물어내거나 도시계획을 또다시 변경할 처지에 놓이게 됐다.
인천시가 지난해 다시 샀던 송도국제도시 6·8공구 내 공동주택용지 A1블록(18만714.8㎡)과 상업용지 R1블록(4만4천176.2㎡)을 수탁하고 있는 코람코자산신탁은 최근 해당 부지에 대한 공매 절차를 진행한 결과 응찰자가 없어 유찰됐다고 6일 밝혔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해당 부지 사업성을 높여달라는 인천시 등의 요구에 따라 A1블록의 세대 수를 기존 1천859세대에서 3천100세대로 1천241세대나 증가시켰지만, 매수의향자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때문에 토지 리턴 과정에서 높아진 토지 가격이 공모 유찰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인천시가 과거 토지 리턴을 받으면서 조달하는 금액은 6천500억원으로 당초 5천900억원에 비해 600억원이 늘어났다. 이는 인천시로부터 인천도시공사가 땅을 매입하면서 발생한 취득·등록세 270억원, 이자 비용 등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현재 매각 예정가격은 A1과 R1이 각각 4천612억여원, 1천596억여원이다.
A1·R1블록 관련 금융주관사인 한화투자증권 관계자는 “구체적으로 공모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는 알지 못한다”며 “의향자는 있었지만, 문의 사항만 있었을 뿐이다”고 했다.
현재 인천시와 금융주관사에서는 토지 매각을 다시 추진할 방향도 잡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올해 9월까지 토지 매각 후 토지 관련 수익권 정산 등이 이뤄지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토지 매각을 위해 매각예정가를 낮추면 인천시가 추가로 돈을 물어내야 한다.
토지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다시 세대 수 증가 등 지구단위계획을 변경할 경우 도시계획을 어지럽힌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다. 인천경제청은 지난달 31일자로 송도 6·8공구 내 세대 수를 2천300세대 이상 증가시키는 것을 골자로 하는 실시계획 변경 승인 내용을 고시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세대 수를 추가 증가시켜달라는 요구는 듣지 못했다. 엊그제 관련 계획을 변경했는데 또다시 변경하는 것은 시민 입장에서도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고 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 관계자는 “세대 수를 추가로 300세대 가까이 늘리거나 수의계약 등으로 매각하는 방식, 매각 가격을 낮추는 방안 등 여러 가지를 검토하고 있다”며 “만약 매각 가격을 낮출 경우 인천시의 부담이 클 수밖에 없어 고민”이라고 했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