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로 확·포장 공사들이 예산부족 등의 이유로 장기표류를 거듭하면서, 경기도가 비용대비 편익과 보상면적 등의 평가를 진행해 우선순위를 두겠다는 방침을 세우고 나섰다. 그러나 지방도 건설사업이 몰려 있는 지역들은 자칫 일부 사업이 후순위로 밀려날 경우 만성적 교통난을 벗어날 수 없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도는 지난해 6월부터 경기연구원을 통해 '장기표류 지방도 사업 타당성 재검토 및 우선순위 결정'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도가 우선순위를 정하겠다고 나선 것은 지난 2004년부터 기존 폭 협소 및 노후 도로·교통량 예상 도로 등 도내 47곳의 지방도에 대한 도로 확포장 공사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이중 22곳만 점진적으로 공사가 진행되고 나머지 25곳은 아예 손도 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도 지방도 예산 1천346억원을 올렸지만 390억원이 삭감된 상태다.
하지만 지방도 사업이 집중된 지역은 주요 도로가 지역 안배 등에 따라 후순위로 밀려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 지난 2008년 실시설계가 완료된 안성시 '공도~양성간 지방도로(321호선·6.0km)' 확포장 공사는 인구6만명인 안성시 공도읍과 서북부지역(양성·원곡·고삼)을 연결하는 중요한 도로지만 아직까지 보상지급률이 22%에 불과하다.
공도마정·양성노곡·동항2 등 산업단지 등이 개발계획 중이거나 현재 개발 중 이지만 도로의 기능회복은 물론 교통수요를 대처하지 못해 만성적인 교통체증은 불을 보듯 뻔하다.
이보다 앞선 지난 2005년 실시설계가 완료된 안성시 '고삼~삼죽간 지방도로(306호선·7.15km)'확포장공사도 상황은 비슷하다. 2007년 도로구역이 결정되고 2010년부터 보상을 추진중이지만 현재까지 착공은커녕 보상도 23%밖에 진행되지 못했다.
이 때문에 국도38호선과 국지도 70·82호선 등 안성시 동부지역과 북부지역 원활한 추진이 어렵고 '서울~세종고속도로' 건설과 맞물려 동안성 IC 개설에 따라 교통대란이 예상되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경기연구원 등의 전문가와 국토부·해당 시군·경기도의원 들과 함께 장기적 관점에서 지방도 우선순위 추진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안성 등 지방도가 많이 추진되고 있는 지역들의 시급성을 잘 알고 있다"며 "의회와의 협조를 통해 급한 구간이라도 1단계, 2단계로 나눠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