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애초 목적과 달리 고층 아파트와 오피스텔 등 대규모 주거단지 개발허가로 논란이 일고 있는 고양시 일산 킨텍스 지원시설용지. 킨텍스 제2전시장 앞 빨간 점선 안에는 오피스텔, 제1전시장 앞 오른쪽 점선 안에는 아파트와 오피스텔이 들어선다.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
고양시가 킨텍스 시설 활성화를 위해 마련된 지원시설용지에 전시장과 관계없는 고층 아파트와 오피스텔 등 6천750여 세대의 대규모 주거단지 개발을 허가해, 전시장 기능을 상실시키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시는 해당 용지 매각을 통해 인구 50만 이상 지자체 중 최초로 '지방채 제로도시'를 달성했다며 자축하고 있지만, 킨텍스 일대는 갑작스러운 거주 세대 증가로 교통대란과 소음문제를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25일 시와 킨텍스 등에 따르면 지난 2014년과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5천여억원에 매각한 일산서구 킨텍스 1·2단계 부지 내 지원시설용지 16만7천여㎡에 대규모 주거단지 조성이 결정됐다. 준공 예정일은 이르면 2019년 초로 이중 3천900여 세대는 이미 분양까지 마친 상태다.
해당 부지는 지구단위계획 상 복합시설과 업무시설 용지로 분류된 곳으로 지난 2004년부터 매각절차가 꾸준히 진행돼 왔다. 높은 지가와 불황으로 장기간 매각이 이뤄지지 않자 시는 용적률과 세대수 제한 규제를 완화했고, 이에 수익성이 높은 주거단지가 한꺼번에 들어서게 됐다.
그러나 세대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신규 주거단지의 진출입로는 기존 킨텍스 앞 도로를 그대로 사용할 예정이어서 교통대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모터쇼 등 대규모 전시의 경우 킨텍스를 찾는 관람객이 하루 평균 10만명에 이르는 데다 전시장 바로 옆에 대형마트가 자리하고 있어 기존 도로로는 교통량 소화가 어렵다는 분석이다.
주거단지와 전시장이 불과 도로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어 콘서트 등 이벤트성 전시에 따른 소음 문제도 불가피하다. 또 지원시설용지 상당부분이 주거단지가 되면서 킨텍스의 전시 기능 보완 및 지원을 위한 소규모 전시장과 업무, 숙박시설 등의 입주는 어려워졌다.
킨텍스 관계자는 "킨텍스가 건립 취지대로 MICE(전시관광) 산업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기 위해선 숙박시설 확충과 함께 용이한 접근성을 유지해야 하지만 주거단지가 들어서고 나면 전시 기능이 지금보다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시는 이에대해 수년간 나대지 상태로 방치된 킨텍스 지원시설용지로 인해 매년 360여억 원의 이자가 발생해 재정 건전성을 위해서라도 주거단지 개발이 불가피했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지원시설용지 유지에 드는 금전적 부담과 개발지구에 거주민이 생길 경우의 긍정적 효과도 함께 고려했다"며 "현재 제2자유로에서 킨텍스로 이어지는 부진입도로 개통을 추진 중이며 소음 문제는 개발사·킨텍스와 함께 최소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해명했다.
고양/김재영·권준우기자 junwo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