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대출 규제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직격탄을 맞은 경기도내 부동산업계가 대량 실직사태를 우려할 정도의 불황에 시달리고 있다.
주택 거래감소 등으로 운영에 어려움이 많은 부동산 중개업소들이 최근 무급 장기휴가 방식으로 직원 구조조정에 나서는 것이 자연스러운 업계의 풍조가 될 정도다.
6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경기지부(이하 한공협)에 따르면 현재 도내 2만3천여 부동산 중개업소 등에 고용된 중개보조인들이 대거 무급 장기휴가를 가거나 퇴직권고의 경우가 늘고 있다.
한공협은 부동산시장의 불안정한 상태가 지금처럼 지속될 경우 도내에서만 무려 2만명에 가까운 중개보조인들이 일자리를 잃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업소당 최소 1명 또는 다자 법인 등 도내 업소들의 운영형태 등을 감안한 협회 관계자의 추정 분이다.
실제 최근까지 거래가 활발했던 수원 광교지구나 인계동 중개업소들마다 불황을 맞은 최근 보조중개인 숫자를 줄이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가계대출 규제가 시작된 지난달 이후 얼어붙은 부동산 경기를 의식한 업소마다 자구책으로 인건비 줄이기에 잇따라 나서고 있는 것이다.
이 여파 등으로 주택 경기가 절정에 달했던 지난해 2~3명까지 보조중개인을 뒀던 광교지구내 업소 상당수가 대표만 남은 '나홀로 업소'로 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지난 1월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이 6만2천365건으로 전월 대비 29%(수도권 3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업계의 고충을 뒷받침했다.
광교지구 C업소 대표(39)는 "정부가 대출강화에 나선 이후 올 들어 단 1건밖에 주택거래를 성사시키지 못했다"며 "현 상황에서 인건비를 줄이는 수밖에 없어 어쩔 수 없이 3년간 함께 일했던 중개보조인에게 사실상 퇴직인 장기휴가를 보낸 채 혼자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기업이나 자영업이나 경영악화 시 인건비 감소를 우선 선택할 수밖에 없다"며 "부동산 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전체 5만여명의 도내 중개보조인 가운데 상당수가 우선 해고 대상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