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400억원 규모의 인천 내항 1·8부두 항만재개발 기반시설사업비의 국가부담을 정부에 요구했다.
인천시는 최근 해양수산부 주최 '중앙-지방정부 간 해양수산 정책협의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요청했다고 7일 밝혔다.
시는 "내항 1·8부두 항만재개발 사업은 국가항만 운영으로 소음·분진 등 피해를 본 지역 주민에 대한 보상차원에서 추진하는 국가사업"이라며 "기반시설사업비 전액을 국비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수부는 지난해부터 전체 28만6천395㎡ 면적에 달하는 인천 내항 1·8부두 항만재개발사업을 추진 중이다.
오는 2017년까지 8부두를 대상으로 하는 1단계 사업을 마무리하고, 2020년까지 1부두를 대상으로 재개발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공공시설지구와 해양문화관광지구 등으로 구성된다.
해수부는 여기에 필요한 400억원 규모의 기반시설사업비 중 67% 정도인 268억원을 인천시가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번 사업의 수혜자가 결국 내항 주변지역 주민 등 인천시민이라는 것이다.
인천시는 내항 재개발사업이 마무리돼도 해수부 산하 인천항만공사가 부지를 갖는 구조인 만큼, 시에 사업비를 분담시키는 건 부당하다는 입장이다. 또 부산항 북항 재개발사업의 경우, 해수부와 부산항만공사가 사업비를 부담할 뿐 부산시가 나눠 내는 부분은 없다며 맞서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달 말 일부 개장하는 4만9천800㎡ 규모의 내항 8부두 일대 기반시설사업비 10억원도 전액 국가가 부담했다"며 "'사업비 분담은 없다'는 인천시 입장이 관철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