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유정복 인천시장이 19일 오후 현장 민원 점검으로 북항을 방문해 원목수입업체 등과 북항 원목 야적장 대체부지 마련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
유정복 인천시장이 19일 인천 북항 목재단지를 찾아 인천항만공사, (주)한진중공업, 인천 원목수입업체 등과 북항 원목 야적장 대체부지 마련 계획을 검토했다.
유정복 시장은 이날 현장 민원을 점검하는 '현답 시장실'의 일환으로 원목수입업체들이 원목 야적장으로 쓰고 있는 한진중공업 소유 북항 제3·4보세장치장(33만5천814㎡)을 방문했다.
국내로 수입하는 원목의 60%가 들어오는 북항 원목 야적장 소유주인 한진중공업이 자금난 등을 이유로 부지 매각을 추진, 해당 부지를 임차한 목재수입업체들이 올 6월까지 야적장을 비워야 하기 때문이다. 목재수입업체들은 현재까지 북항 원목 야적장 대체부지를 찾지 못하고 있다. 한진중공업 소유 원목 야적장을 쓰고 있는 업체는 14개이다.
목재수입업체가 모인 대한목재협회 측은 해양수산부가 소유한 북항 배후단지 화물주차장(4만2천958㎡), 청라준설토투기장(17만7천188㎡), 인천항만공사가 소유한 경인아라뱃길 준설토투기장(82만8천㎡) 등을 임대하라는 입장이다. 북항 내 인천시 소유부지(5만7천852㎡)도 업체들이 요구하는 대체부지 중 한 곳이다.
인천시는 목재수입업체들이 야적장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원목 수급이 원활하지 않게 돼 건축, 인테리어, 조경 등 관련 업계도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항만공사 등 관련 기관은 각 대상부지가 민원 우려가 큰 데다 산업단지 조성이 시급하다면서 야적장 조성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인천시는 시 소유 부지를 포함한 북항 인근 대체부지 마련 방안을 관련 기관과 협의하고 있지만, 뚜렷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유정복 시장은 이날 북항 야적장 현장에서 "인천시가 인천항만공사와 한진중공업 등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목재업체들이 야적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중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