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해운업계에 대한 구조조정 작업을 본격화 한 상황에서 부실 5대 업종에 포함된 건설업이 또다시 거론되자 경기도내 건설업체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지난해 주택건설 시장이 반짝 회복세로 돌아서 경영 실적이 다소 개선된 상태지만 부실 기업 퇴출을 위한 구조조정에 돌입할 경우 지역 건설업계가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25일 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 분양시장 호황으로 도내 업체들의 일감 수주가 확대되면서 경영 실적이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건설의 경우 전체 973개 회원사 중 92.9%인 904개사가 무사히 실적 신고를 마쳤다. 이는 전년보다 2.4% 늘어난 수치로 최근의 경기 호조를 반영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건설 역시 전체 6천799개 회원사 중 87.6%인 5천889개사가 퇴출 또는 부도 없이 현재 영업 중이다.
경영 상태를 가늠할 수 있는 실적 신고 업체 수가 8년 만에 처음으로 오름세로 돌아선 것이다.
도내 건설업계는 일단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부실 기업의 지속적 퇴출과 경영 개선 등으로 이번 정부의 구조조정에도 크게 흔들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 주도의 기업 구조조정이 부실 기업보다는 집단대출규제 같은 시장을 옥죄는 엉뚱한 방향으로 확대될 경우 도내 건설업계도 간접 영향권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란 분석이다.
실제 지난해 말 정부가 실시한 건설사 집단대출 규제 강화 이후 부동산 거래 감소에 따른 경기 위축으로 많은 도내 건설사들이 곤란을 겪었다.
업체 대부분은 대출 및 보증 심사에서 규제 강화에 따라 일시적으로 심각한 자금난을 겪은 경험을 감안, 건설 경기 연착륙을 위해 충분한 사전 조치가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대한건설협회 경기도회 관계자는 "최근 수도권 아파트 공급이 계속되고 있는 반면 공공·관급 공사는 꾸준히 줄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 건설업계가 구조조정에 따른 최악의 상황에 대비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며 "정부의 기업 경영 개선책도 좋지만 건설 경기는 특히 흐름이 중요한 만큼 먼저 경기 부양이 우선시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