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용지 19만㎡↑·유치 어려운 업무복합시설 용지 대폭 축소
DCRE, 옛 극동방송 건물 기부채납… '병목지역' 교통대란 우려
인천 남구 용현·학익 도시개발사업 구역 가운데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OCI(동양제철화학) 옛 공장 부지 일대의 밑그림이 새로 그려졌다. 당초 개발계획보다 업무복합시설 용지는 감소하고 주거 용지가 증가했다.
인천시 도시계획위원회는 27일 이런 내용이 골자인 '용현·학익 1블록 도시개발사업 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 변경안'을 원안 수용했다. ┃ 표 참조
용현·학익구역은 총 266만4천㎡ 규모로, 10개 블록으로 나눠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중 1블록이 154만㎡를 차지한다. 1블록의 새 밑그림이 그려지면서 이곳은 물론 토지 매입 또는 계획 수립 단계에 있는 다른 블록 개발사업들도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 주거용지·세대 증가, 업무용지 감소 = OCI 자회사이자 1블록 사업시행자인 (주)DCRE는 당초보다 계획인구와 세대 수를 늘렸다. 각각 1만1천448명, 5천 세대 증가했다. 이는 주거 용지를 늘리고, 공동주택 평형을 중·대형에서 중소형으로 변경한 데 따른 것이다. 주거 용지가 증가하면서 1천120세대가 늘고, 공동주택 평형 변경으로 3천880세대가 더 생겼다.
주거 용지는 35만6천774㎡에서 54만9천897㎡로 19만3천123㎡나 늘었다. 반면 업무복합시설 용지는 20만4천762㎡에서 8만5천237㎡로 감소했다. 이는 업무복합시설 유치가 어렵게 되자, 주거용지를 늘리는 형태로 개발계획을 현실화한 것으로 보인다.
DCRE는 2007년 용현·학익구역 1블록을 세계적인 부동산 개발업체와 공동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이를 위해 싱가포르 한 부동산회사와 양해각서까지 체결했으며, 사업 대상지 중앙부에 특급호텔과 업무시설 등으로 구성된 초대형 복합단지를 조성하겠다는 계획까지 세웠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는 글로벌 금융 위기로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좌초됐다.
DCRE는 수인선 '학익역' 역세권을 중심으로 이번 개발계획 변경안을 짰다. 업무·상업 용지인 중앙부를 주거 용지로 변경하고, 학익역 주변으로 업무·상업 용지를 배치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중소형 주택을 선호하는 부동산 시장 여건을 반영하고, 수인선 역세권 중심의 도시 공간으로 재구성됐다"며 "부동산 경기 침체와 투자 유치 실패로 장기간 표류했던 사업이 본격 추진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 옛 극동방송 등 용지·건물 기부채납 =DCRE는 개발이익 일부를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차원에서 상업 용지 3만4천758㎡, 문화 용지 3만5천612㎡, 창조혁신 용지 2만9천753㎡ 등 약 10만㎡를 기부채납하기로 했다. 또 이들 부지에 있는 옛 극동방송 건물, OCI 본관, 경인방송 건물도 기부하기로 했다.
상업 용지와 문화 용지 일부는 인천시, 나머지 문화 용지와 창조혁신 용지는 남구가 받게 된다. 창조혁신 용지는 연구개발시설 조성 등 도시의 자족 기능을 높이기 위한 용도로 쓰이게 된다.
옛 극동방송 건물은 1956년 12월 대한민국 최초로 해외에 방송을 보낸 곳이다. 1블록에는 옛 극동방송 송출실과 선교사 사택 등 벽돌 구조의 지상 1~2층 건물 8채가 남아 있다. OCI 본관은 1987년 건축된 지하 1층, 지상 4층 철골 구조 건물이다.
인천시는 옛 극동방송 건물과 OCI 본관을 문화예술 창작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시 관계자는 "극동방송 건물과 선교사 사택은 역사적 가치가 있는 근대 건축물로, 즉시 활용이 가능하다"며 "어떤 용도로 활용할지는 좀 더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개발이익 환수 규모가 적정하냐"는 질문에 대해선 "기존 중·대형 평형을 중소형으로 쪼개 세대수가 증가한 것"이라며 "용적률 상향은 없다. 이런 부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했다"고 했다.
■ 세대 증가에 따른 교통 대책은 = 개발계획 변경으로 5천 세대가 증가하면서 교통난이 심각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벌써 나온다.
현재 용현·학익구역 일대는 도로 부족에 따른 '병목 현상'으로 교통 체증이 심한 상태. 올 6월 약 4천 세대 규모의 아파트단지(2-1블록)에 입주가 시작되면, 교통 체증이 극심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시 관계자는 "DCRE가 개발계획 변경에 맞게 교통 대책을 다시 수립했다"며 "부족한 부분은 향후 교통영향평가 재협의 과정에서 보완될 것"이라고 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